그냥 삶에 대한 의욕이 넘치지만 자꾸 도망가고 싶은건 왜일가요?
잘하고 싶은데 배운게 없어서 겁부터 나고. 남한테 무식하다는 무식이 용감하다는 소리 듣지 않으려고 많은 거부부터 하고. 이젠 헤여졋다 만난지 얼마 되지않은 아들아이 앞에서 도망치고 싶어져요. ㅜㅜ
안녕하세요. 정기훈 아하(A-ha) 심리상담사입니다.
잘 살고 싶은 욕구에 비해 현재 스스로의 상태가 만족 스럽지 않고 그로 인해 주변으로 부터 좋지 못한 소리를 들을까봐 많이 두려우신 것 같습니다. 어쩌면 최근 다시 만나게 된 아이에게 좋은 모습들을 많이 보여주고 싶지만 그렇지 못하기에 더 아이가 실망할까봐 더 불안하고 도망치고 싶은 것은 아닐까 생각되어 많이 걱정됩니다.
질문자님이 도망가고 싶으신 이유는 앞서 말한 다른사람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스스로가 거부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질문자님은 지금부터라도 잘 하기 위해 노력하고자 하지만 그렇게 못했을때 어떡하지 하는 두려움도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러나 질문자님께서 두려움에 앞서 잘하고 싶은 마음이 있으며 도전해보고 싶은 의욕이 있다는 것 까지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질문자님께서 가지거 계실지 모를 두려운 상황들은 일어나지 않은 일이며 반대로 질문자님의 의욕은 이미 일어난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질문자님이 경험 중이신 사실에 힘입어 하나하나 작은 것부터 실천해버셨으면 좋겠습니다.
누군가는 늦었다고 생각할때가 가장 빠른것이다고 말하면 누군가는 늦었다 생각할때는 이미 늦었다고 하는데 사실 어떤걸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이야기입니다. 중요한건 질문자님의 남은 인생에서 뭘하든 떠오른 그 순간, 용기낸 그 순간이 가장 빠르다는 것과 몇시간뒤 당장 끝내야하는 급박한일이 아니라면 대부분 주어진 시간에 해낼 수 있는 일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무엇보다 최근에 함께할 아이에게 이미 능력이 있고 집도 차도 돈도 많은 등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겠지만 그보다 부족하지만 최선을다해 무엇인가를 이루어 내는 강인한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 더 멋있고 대단한 일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완성되어있거나 이미 모든걸 갖추고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평생을 완성을 향해 노력하면서 살아갈 뿐이며 완성이냐 미완성이냐보다는 불완전이 완전을 향하는 과정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질문자님께서 스스로를 사랑하시고 지금의 나를 받아들이시고 지금보다 더 나은 스스로를 위해 작은 것 부터 하나 둘 씩 실천해 가셨으면 좋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랑받고 존중받는 것 처럼 질문자님 역시 사랑받고 존중받을 가치가 있는 사람입니다.
용기를 잃지 마시고 두려움에 맞서 싸워 포기하지 않고 도전하는 모습을 본인에게도 아이에게도 보여주셨으면 합니다. 응원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무언가 피하고 싶은것은 그만큼 내가 준비가 되지 않았거나 불안감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피하고 싶은 감정은 나쁜것만은 아닙니다
나 자신을 보호하고 싶은 무의식적인 반응이기에
너무 안좋게만 생각하지 않으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무언가 크게 상처를 입으셨던 적이 있거나 일이 잘 풀리지 않아서
이에 대한 걱정이 크신 것 같습니다.
의욕이 넘치신다면 여기에 더불어 꾸준함만 있으시면 되니
의욕을 가지고 자신감을 가지세요.
그리고 꾸준히 나아가신다면 분명히 좋은 결과가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으신다면 원인을 분석하고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원인을 분석하시고 그 상황을 피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취미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해소하세요.
때로는 충분한 수면과 휴식도 시도해 보세요.
안녕하세요. 안장이 심리상담사입니다.
자존감이 많이 결여된 듯 합니다
자신의 가치를 인정하고 더 사랑해
주세요
그리고 아들과의 라포형성을 위해
노력해보세요
싫어도 사랑한다는 말 해주세요
충분히 가치있는 내담자님을 응원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책이나 후회는 감정 소모가 심한 일입니다.
후회하며 시간을 낭비하는 것은 오히려 더 심한 좌절감과 피로감만 일으킵니다.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위험회피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남들보다 더 쉽게 불안을 느끼게 되어, 일이나 공부, 주어진 과제들을 해나갈 때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더 꼼꼼하게 해나가고, 잠재적인 위협을 잘 탐지하여 실수를 좀처럼 하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정도를 넘어서게 되면, 과도하게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불안에 압도되어 꼼짝도 못 하게 되거나, 피하려는 모습만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런 사람들에게는 불필요한 농담이나 자극은 주지 않는 것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정서적으로 안정되있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일상생활에 겁도 나시고 갑작스러운 아이와 만남으로 인하여
불안감도 크신 것 같아요.
너무 불안해 하지 마시고 심적으로 여유를 가져보시고 마음을 편하게
먹는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상범 심리상담사입니다.
아무래도 삶이 힘드시고 지치시다 보니 그러신 것 같습니다.
너무 조급해하지 마시고 마음의 여유를 가져보신다음
차근차근 배워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일이든 아들과의 관계든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