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수술 중 골반, 다리 traction 적응증과 하는 이유
가끔 골반뼈나 다리뼈 뿌러져서 오신 분들 수술 당장 진행 못하면 견인시술 하시거든요
근데 이거 하는 이유가 뭔가요?? 의사들끼리 얘기하는데 이거 안하면 수술할 떄 근육이 뿌러진 모양대로 수축해서? 뭐라고 했는데 잘 못알아들었어요
견인치료의 정확한 이유와 근거를 알고싶어요!
팔은 왜 견인치료 안하는지도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다리 뼈의 골절이 일어나면 근육 수축으로 인한 골절의 복합성, 수술시 어려움, 극심한 통증을 유발 할 수 있으며 팔은 석고 붕대나 부목 등 쉽게 고정을 할 수 있지만 다리 뼈 같은 경우 크고 고정이 어렵기에 견인 후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견인을 하게되면 좀 더 근육 수축을 막아주고, 뼈의 길이, 골절면 등 변형을 예방 해줄 수 있기에 골반과 다리 같은 경우는 견인 후 자리를 잡고 수술에 용이하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팔 뼈는 비교적 고정과 변형을 막는 방법들이 쉽기에 견인을 다리에 비해 덜 하지만 상태에 따라 팔 뼈 골절시에도 견인을 하는 경우는 있습니다.
만약 지금과 같은 상황이라면 다시 의료진께 질문 후 정확한 내용에 대한 상담을 받으시길 추천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되셨다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골반 다리 골절 시 견인은 골절편이 어긋난 상태에서 근육이 수축해 변형이 심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통증을 줄이며 수술 전 골절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하지는 대퇴사두근 등 큰 근육이 강하게 수축해 골편 변위가 심해질 수 있어 견인이 효과적입니다.
팔은 근육량과 중력의 영향이 적어 비교적 변형이 덜하고 석고 고정이나 간단한 정복으로도 정렬 유지가 가능해 견인을 잘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다리에 견인을 적용하는 것은 수술 전 골절부위의 뼈와 조직의 상태를 안정화 하기 위해 시행하는 것으로 뼈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근육수축을 예방하기 위해 적용합니다.
견인은 통증감소 및 출혈의 감소와 혈관손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적용하는 것으로, 다리는 팔에비해 상대적으로 근육의 크기와 수축력이 강하기 때문에 손상의 위함이 커서 견인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뼈가 부러졌으면, 뼈의 원래 정렬라인이 흐뜨러질수도 있겠죠? 당겨놓으며 어느정도 뼈의 정렬을 맞춰놓는것이라 보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