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오늘배움
오늘배움

인구 대비 빈집 수가 가장 많은 지역과 가장 적은 지역은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배웁니다.

전국적으로 빈집이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빈집이 자꾸 늘어나는데 아파트는 왜 그리 지어대는지...

인구 대비 빈집 수가 가장 많은 지역과 가장 적은 지역은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빈집의 경우 여러 요인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데 질문철머 살고자하는 사람들의 수요가 없어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재건축,재개발등으로 인해 일시적인 빈집 또는 개인적 문제로인해 공실인 상태등이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수요가 없어서 즉 살사람이 없어서 발생하는 빈집의 경우는 지방에서 주로 발생되며, 1년이상 미거주 주택의 경우 24년 11월 기준 통계에 따르면 전국에 38만 7천호에 이르며,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순으로 가장 많습니다. 그리고 가장 적은 도시는 세종입니다. 참고로 서울, 경기 수도권지역도 일정 순위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앞에서 말한 수요가 없어서라기보다는 거주가 불가한 사유에 따라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통계청 주택총조사를 토대로 발표한 "연도별·지역별 미거주 주택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의 빈집수는 2023년 말 기준으로 153만4천가구이며 가장 빈집이 많은 지역은 경기도로서 전체 빈집 가운데 18.6%를 차지했습니다. (경기도내 순위는 평택이 11.2%로 가장 많았으며 화성 8.1%, 부천 6.3% 였습니다.) 반면 빈집이 가장 적은 지역은 세종으로 0.8%로 나타났으며 서울은 7.0% 였습니다.

    빈집이 많은데도 아파트를 건설하는 이유는 사람들이 선호하기 때문이며, 특히 신축 아파트를 선호하므로 구축에서 신축으로 이동하여 빈집이 발생하는 것이고 아직도 수요에 비해 아파트숫자가 부족한데다가 노후되어 재건축이 필요한 아파트들이 계속해서 발생하므로 아파트 건설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빈집 문제는 특히 지방 소도시나 농촌지역들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아파트건설은 서울과 수도권 위주로 되고 있습니다

    빈집 수가 특히 많은 지역은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등의 지방이고 특히 전남, 전북 지역은 인구가 감소하고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빈집 비율이 높아졌습니다.

    반대로, 서울, 경기도, 인천 등 수도권은 빈집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특히 서울과 경기도는 높은 인구 밀도가 높고, 아파트의 수요가 여전히 크기 때문에 빈집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경기도 성남시, 용인시, 고양시 등은 수도권의 핵심적인 주거지로, 빈집 비율이 낮은 지역으로 분류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인구 대비 빈집이 가장 많은 지역은 전라도 고창이나 경상도 진주, 함양입니다.

    반대로 인구 대비 빈집이 가장 적은 도시는 대도시 지역은 서울, 고양, 용인, 성남시 입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현재 전국에서 빈집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라남도이며 특히 고흥군, 신안군, 함평군 등에서 빈집이 많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반대로 빈집 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이며 특히 강남, 서초 등 도심 지역에서는 빈집이 거의 없는 수준입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