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라토토
라토토

밥 잘 안 먹고 편식 심한 아이 어떻게 고치나요?

주위에서 보면 밥 안 먹으면 즉시 치우고 굶기는 게 방법이라고 하는데 이렇게 극단적으로라도 훈육하는 게 좋은 방법일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밥을 안먹으면 그 타임은 넘어가셔도 괜챃습니다

      이후에 간식을 주지 않고 다음 식사때까지 기다리는것이 좋으며

      사전에 아이에게도 이러한점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지금 아이처럼 극심하게 편식을 한다면 보통 아이들이 먹지않는 음식 대부분은 맛보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입에 대보지도 않은 것이죠.

      또한 단순히 모양이나 색깔이 이상해서 안먹을 수도있는데요. 그렇기에 볶음밥이나 계란말이와 같은 음식을 요리하는 과정에 아이가 일부라도 참여할 수 있게끔 하면 편식을 없애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내가 만든 음식이라는 인식이 머릿속에 강하게 박혀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집에서 요리할 때 사용하는 식재료를 집에서 직접 키워보고 그 야채들을 직접 먹어보는게 교육적으로 굉장히 큰 의미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편식하는 경우 해당 음식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함일 수 있습니다.

      음식을 조리시 아이가 참여하여 음식이나 재료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는

      방법과 식판을 이용하여 음식을 먹게하는 등의 방법으로 아이 식습관을 바꾸어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새로운 것에 대한 공포심이 강한 아이들에게 새로 맛보는 음식을 바로 먹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음식을 먹일 때는 식사시간 전에 여러 번 보여주고 재료를 가지고 놀 수 있는 시간을 주는 것이 중요해요. 그리고 식사시간은 가족과 함께 맛있는 것을 먹는 즐거운 시간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해요. 먹는 재미를 느끼게 해주기 위해서는 직접 요리에 참여시키는 방식으로 음식에 대한 흥미를 만들어주세요.
      또한 싫어하는 음식을 먹었을 때 칭찬을 많이 하면 아이가 성취감과 기쁨을 느껴 편식을 고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간식은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편식하는아이

      1.식사시간정하기

      2.식단구성시 좋아하지않는반찬위주로

      위의 방법을꾸준히하면좋아질겁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밥을 안 먹는다고, 즉시 치우고 굷겨버리면, 아이의 정서 발달에 악영향을 끼칠 것입니다

      미리서 아이와 타협을 하거나,

      아이를 이해 시키는 게 중요합니다.

      아이가 편식을 하면, 음식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같이 요리를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식사시간에 밥을 먹지 않으면 식사는 정리하고 밥을 주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배가 고프다고 말을 하면 그때 밥을 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밥을 먹지 않는다고 굶기는 것은 절대 옳지 않아요.

      아이가 밥을 먹지 않으면 잠시 상을 치우되 아이가 배가 고파요 라고 말을 한다면 밥을 다시 차려서 주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극단적으로 치워버리는 훈육은 아이에게 좌절감을 느끼게 할 뿐입니다

      잘 설득해서 골고루 먹을 수 있도록 지도를 하셔야 합니다

      엄마 아빠가 아이 앞에서 맛있게 드시는 모습을 자주 보여 주세요.

      올바른 식습관과 관련된 동화책도 자주 읽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상의 없이 극단적으로 치우시는 것이 아닌 미리 아이와 식사시간에 대해 알려주시고 정해진 시간에 앉아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식사시간은 지루하고 싫은 시간이 아니라 즐겁게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이 되도록 분위기를 조성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되는데요 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가 있다면 캐릭터 모양으로 음식을 만들어주셔서 아이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는데 도움을 주시고 이왕이면 가족 모두 함께 앉아서 식사를 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셔서 아이가 식사시간에는 자연스럽게 앉아있는 어른들을 보며 함께 식사하는 시간이라는 것을 인지하도록 도움을 주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편식을 하면 아이를 혼내시야 되요

      굶기거나 그런 것보다는 아이가 편식을 하고 그러면

      간식을 제한하거나 그런 방법을 써보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편식이 심하고 밥을 먹지 않으면

      아이가 좋아하는 것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훈육을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