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독특한낙타187
독특한낙타18723.11.03

30개월,갑자기 모든 게 다 무섭다고 하는 아이 왜그럴까요?

3일 전에는 잘 놀고 잘 지내고 잘 자는 밝은 아이였습니다. 갑자기 3일 전부터 외식 후 집에 오더니 그 이후부터 "무서워!!!"하면서 온 몸에 식은땀이 나고 머리가 다 젖을 정도로 울고 소리 지르더니 2일이 지난 이후까지 첫날처럼 괴성을 지르고 울며 오줌쌀 정도는 아니지만 여전히 바닥도 무서워하고 다 무서워 하네요.


자기 몸이 바닥에 안닿게 소파나 침대에 올라가있거나, 제가 컴퓨터방에 들어가면 가지말라고 거기 가지말라고 엉엉 웁니다. 뭐가 있냐고 물어보면 "괴물이 있어." "부엉이가 있어" "다리가 많아 무서워" 이런 말 뿐이라 소통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네요. 재울때도 제가 팔을 벌리면 겨드랑이 안으로 들어와 기어코 자기몸을 모두 손까지 감싸 웅크리고 잠에 듭니다. 외식을 기점으로 아무일도 없었는데 하루 아침에 왜 이럴까요? 밖에 나가면 증상이 없어지고 집에만 있으면 땀 나드락 울고 무섭다고 말하니 설거지도 집안일도 다 못하고 있습니다

두려움을 느끼는 나이인가요? 아무리 그래도 병원, 동물, 어듬같이 키워드에 공포를 느끼는 게.아니라 집안에서만 뭐가 혼자 보이는 것 처럼 무서워하니 이해가.가지않습니다. 지나갈 일시적인 평범한 증상인지 아동 심리센터를 가야하는 수준의 큰 문제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03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특정한 날을 기점으로 해서 아이가 무섭다고 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외식하는 공간에서 특정한 대상으로부터 공포감을 느꼈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아이가 무서워하는 것과 관련된 영상을 봤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들 같은 경우에는 성인과 달라서 꿈과 현실, 영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우선 아이가 안정을 취할 때까지 아이를 안아주고 안심시켜주는게 필요해 보입니다.

    아이와 충분히 대화를 나누며

    아이를 안아주면서 'ㅇㅇ가 생각하는 무서운 일은 일어나지 않을거야. 아빠(엄마)가 지켜줄테니까 걱정하지마"

    이렇게 아이를 위로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무서움을 느낀다면 그 무서움의 존재 여부가 결코 무섭지 않다 라는 것을 이해시켜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우선은 아이가 무서워 하는 대상이 있다면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시면서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너무 심각한 상황이라면 병원 상담도 받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충분히 두려움을 느낄수있는 나이이며

    아이가 외식하러갔을때 무언가 안좋은 이야기를 들었거나 비슷한 것을 경험했을가능성도 있습니다.

    현재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상담센터에서 검사를 해보시는것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신체적으로 증상이동반될정도라면무언가트라우마에의한것일수있답니다.

    지속되면 상담을받아보는게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무서운 꿈을 꾸거나 밖에서 무서운 경험을

    해서 그런 것 같고 안심을 시켜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아이가 무언가 트라우마가 생긴 것 같고

    이에 대하여 한번 대화를 통하여 알아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무서움을 느끼게 하는 원인이 있었는지 원인을 찾아내어주시는 것도 중요하겠습니다.

    많이 안아주시고 아이가 무서워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풀어나가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커텐이 흔들리는 것이 무서워한다면 뭐가 무서워 아무것도 없어 라고 말하시는 것보다 아이가 무서워하는 것을 공감해주시며 커텐이 흔들리는 모습이 무섭구나 무서웠구나 엄마도 그렇게 느껴질 것 같아 라고 공감해주시는 것이 더 좋습니다. 그럼 커텐이 왜 흔들리는지 한 번 찾아볼까? 직접 아이와 천천히 손을 잡고 커텐을 만져보고 흔들어보며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인지하도록 도움을 주시고 아이가 안정감이 느껴지도록 토닥여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를 꼭 껴안고 쓰다듬어 안심시켜주시고 스킨십으로 아이를 안정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예전에는 그렇치 않았는데, 3일 전부터 이런 증세가 나타났다면,

    최근에 아이 주변 환경에 큰 변화가 있었는지 차근 차근 점검해 보셔야 합니다

    또한 낮 동안에 아이가 스트레스가 될 만한 일들, 혹은 활동들이 있는지도 점검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자다가 꿈을 꾼 게 아닐까요?

    악몽을 꿨다면 꿈의 내용 때문에 아이의 심리가 굉장히 불안해 보입니다

    무엇보다 가족들의 따뜻한 분위기로 아이의 불안한 심리를 없애 주는 게 중요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