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 올라간 물가, 가격대는 왜 다시 내려오기 힘든건가요?!
사실상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이유이기도 하지만, 한번 어떠한 이슈에 의해서 가격을 올리고 나면 가격을 내리는 경우는 없는데, 이로 인해서 너도 나도 가격을 올리게 되고 전체적으로 경제적 위기가 오는듯합니다. 국가에서 개입하지 않는한 시장경제에 맡기는건데, 이게 옳은걸까요?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기업이 한번 인상한 가격은 생산비용과 기대심리로 인해 쉽게 조정되지 않습니다.
이를 하방경직성이라 하며 인건비와 원자재 상승이 누적되어 지속적 물가 상승을 유발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물가가 오르는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으나, 가장 큰 이유는 화폐의 유동성이 늘어나면 회폐가치가 하락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실물가격은 올라가게 됩니다. 아시다시피 시간에 따라 화폐의 가치는 하락하기 떄문에 결국 물가상승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수 밖에 없고 한번올라간 물가는 쉽게 내려가지 않게 됩니다. 이는 경제적으로도 정상적인 부분이며 일본처럼 오히려 물가가하락하는 경우는 디플레이션으로 경제학적으로 경제성장침체라는 더 큰 위기로 인식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화폐의 유동성은 결국 정부가 역할을 하는 것이기 떄문에 시장경제라도 해도 정부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흘러가는 것이지 정부가 개입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물가에 대한 정부의 역할이 전혀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최현지 공인중개사입니다.
가격이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따라 내려가야 할 상황(예: 원가 하락, 수요 감소)이 발생해도, 실제로는 쉽게 하락하지 않고 높은 수준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말합니다. 이는 시장 논리뿐만 아니라 기업의 심리, 비용 구조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자유 시장 옹호: 시장의 가격 기능(수요와 공급에 따른 자동 조절)이 가장 효율적이며, 정부 개입은 오히려 시장을 왜곡하고 장기적으로 더 큰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고 봅니다.정부 개입 필요성: 하방 경직성처럼 시장의 '실패' 또는 비효율적인 상황이 발생할 때, 정부가 금리 조절(통화 정책)이나 재정 지출(재정 정책) 등을 통해 개입하여 물가 안정을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자본주의 경제에서는 물가가 계속 오르는 것이 보통인데, 이는 기업이 수익을 늘리기위해 가격을 올리고 정부에서 통제하는 중앙은행은 경제가 계속 성장하도록 화폐 공급을 늘리므로 돈의 가치는 떨어지게 되고 자연스럽게 물가가 오르는 것입니다. 이 외에도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생산비용의 상승, 세금이나 공공요금의 인상, 환율의 변동 등으로 인해 물가가 오르기도 합니다. 물가도 상승하지만 임금도 상승하므로 상당 부분 상쇄가 될 수 있으며, 밸런스에 큰 문제가 없다면 국가가 개입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시장 가격은 수요와 공급이 만난 점에서 가격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자유시장경제 체제에서는 정부의 개입을 초소와 자유방임을 해야하는 것이 자본주의 원리입니다
정부가 시장가격에 개입하게 되면 왜곡된 가격 형성으로 통제 사에서에서 자주 형성되는 왜곡된 물가 구조가 형성됩니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에서도 때로는 과도한 인간의 독과점 가격구조 품목에 대해서는 독점가격이나 과점가격을 개입하는 독과점규정을 정하여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여 물가 상승구조룰 억제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물가에 대해서는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융수단을 통해 물가를 전담하는 기관이 한국은행으로 정치적 개입없이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건전한 물가관리의 초석이될 것이라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시장경제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이 되게 됩니다.
물론 자본주의 특성상 꾸준히 물가가 올라게 되며 화폐가치는 떨어지게 되고 그럴 경우 금리를 인상을 시켜서 물가를 안정시키고 유동성을 줄여서 다시금 화폐가치를 올리고 등의 정부로써 경제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 개입을 하는 것으로는 금리를 조절을 해서 유동성등을 조절을 하고 시장에 수요와 공급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또한 한번 오른 가격은 기업등이 쉽게 내리지는 않는 것은 그에 맞게 이익이 실현이 되고 또한 비용으로 인건비 급여등이 올라가게 되는 것을 적용하게 되면 쉽게 가격을 내리는 것도 쉽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급여를 삭감을 하게 되면 노동자들이 반발을 하기 때문에 한번 오른 임금도 내리기 어려운 것 처럼 한번 오른 물가도 쉽게 내리는 것은 어렵습니다. 정부에서는 과도하게 오른 물가를 잡기 위해서 금리등을 조절을 하고 또한 가격담합등의 불공정 거래, 시장 독점등의 단속을 통해서 어느 정도 소폭 우상향하는 물가를 유지하기 위해서 정책을 펼친다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한번 올라간 물가가 쉽게 내려오기 힘든 것은 물가가 오를 때 기업들도 인건비와 원자재비, 물류비 등이 함께 올라가 내리기가 어려운 부분과 기대 인플레이션으로 심리적 물가를 올리는 경우 그리고 시장 경쟁의 불완정성이 복합적으로 작용이 되기 때문이라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한 번 올라간 물가가 쉽게 내료오지 않는 이유는 시장 경제의 구조적 특성과 심리적 요인이 맞물리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과 KDI등 주요 연구기관의 분석에 따르면 이 현상은 공급 비용 구조, 임금, 기업의 가격 전략 등 복합적인 이유에서 물가는 떨어지기 어렵습니다.
기업은 한 번 가격을 올리고 나면 다시 내릴 경우 브랜드 가치 하락, 소비자 혼란, 수익성 저하를 우려하기 때문에 가격을 낮춰도 원자재나 인건비가 쉽게 내려가지 않기 때문에 비용 대비 이익률을 지키려는 전략 고착이 생깁니다.
이 때문에 한 번 올라간 물가는 내려가기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