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아리따운참고래164
아리따운참고래164

와이프가 충수염 수술을 했는데요??

성별
여성
나이대
41

검색해보니 충수염 맞는거 같아요

맹장 끝에 있는거 잘라냈다고 했거든요

수술한지는 몇 개월 됐는데요 배꼽과 옆에 두 군데를 이용해서 수술을 했는데요

수술은 잘 끝났습니다. 지금 어디 아프지도 않구요

그런데 배꼽 바로 근처에 동그란 딱딱한 뭔가가 있는데요 이게 뭔지 잘 모르겠네요

뭔지 아시나요?

병원에 가봐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충수염 수술을 하고 나서는 수술한 부위에 상처 등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상처들은 피부에 딱딱한 형태로 남아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자세한 확인을 위해서 피부과나 내과에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충수돌기염으로 충수절제술을 받으셨고, 복강경 수술을 받으신 상황이라 추정됩니다. 배꼽 주변에 흉터가 보인다면 만져지는 덩이는 배꼽탈장, 흉터, 지방종 등의 요소들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받으신 병원이나 외과 진료를 추가로 받아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현재 증상만 놓고 보았을 때는 크게 문제가 될 만한 병변으로 보이지는 않으며 수술하기 위해 접근했던 부위 주변부로 살이 차오르면서 딱딱하게 만져질 확률이 높아보입니다. 다만, 배꼽 근처에 딱딱한 무언가가 만져진다면 간헐적으로 수술 이후에 수술 부위 주변부로 생긴 탈장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정밀 초음파 검사나 CT 검사가 필요할 수 있으며 통증이 동반된다면 탈장부위가 꼬여서 발생하는 통증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수술받으신 병원에 가셔서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수술 후 배꼽 근처에 딱딱한 부분이 만져지는 것은 대부분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이는 수술 과정에서 사용된 봉합사나 피하 조직의 반응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통증이 심하거나 부어오르는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감염 등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병원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수술 부위가 완전히 회복되려면 시간이 좀 걸리니 경과를 지켜보시면서 이상 증상이 있을 때는 바로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아쉽지만 관련하여서는 병원에 가보시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글의 내용만으로 구체적인 정체를 파악 및 판단 가능하지 않습니다. 또한 급성 충수염으로 수술을 받은 것과의 연관성 또한 명확하지 않습니다. 병원에서 관련된 진료 및 상태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 맹장염 수술의 경우 위와 같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배꼽 + 옆에 2군데 = 총 3군데 포트로 수술을 하신 것 같습니다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수술후에 약간의 혈종이 잡혀있거나 병변이 아무는 과정에서의 결체조직 흉터 일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당장의 진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지는 않으나 출혈이나 압통 발적등이 동반되면 빠른 진료를 보시기 바라며, 추후 예정된 재진 일정에 맞추어 진료를 보시면서 담당 주치의 의견도 함께 구하시기 바랍니다.

  • 맹장 끝에는 충수가 있는데 이걸 잘라내는 수술을 받았다면 충수염으로 복강경으로 제거한 상태로 생각됩니다.

    그러나 적어 주신 증상만으로는 질환을 추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인근 병원을 방문하여 신체 진찰과 초음파 또는 필요시 복부 CT검사를 받아보실 것을 권합니다.

  • 환자분의 신체진찰이 이루어지지 않아 그 딱딱한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확인은 어렵습니다.

    다만 맹장(충수돌기) 수술을 하기 위해 복강경 수술 시행한것으로 추정되며 복강경 진입하기 위한 구멍을 뚫는데, 이 과정에서 흉터화 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습니다.

    다만 이 외에도 탈장 등을 감별해야하나 질문자분의 글만으로는 가능성 낮아 보입니다.

    걱정이 되신다면 내과 또는 외과 내원하여 평가 받길 권유드립니다.

    필요시 복부 초음파등의 영상검사 요구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