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주택이 지방에서는 왜 인기가 없나요
국민임대 등의 공공주택이 지방에서는 왜 인기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서울이나 수도권에서는 공공주택 들어가기가 상대적으로 훨씬 어려운데 지방은 무엇이 다른지 궁금합니다
입지, 교육, 일자리 등의 문제들이 있다고 생각되지만 다른 요소들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임대 및 공공주택이 지방에서 인기가 없는 이유는 공급과 수요 문제가 크고 공공임대 수요 자체가 젊은 사람들이 많은데 지방에는 일자리도 부족하고 젊은 사람들이 부모님 집에서 사는 경우가 많아 인기가 상대적으로 적어 보이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2022년 통계청 기준 주택 보급률은 전국 102.1%로 서울의 93.7%, 수도권의 96.6%, 경기 98.6%, 인천 97.9%, 대전 97.2% 를 제외하면 모두 100%를 넘겨서 숫자상으로는 부족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18%정도를 차지하는 서울 주택보급률이 93.7%인데 노후 불량 주택, 직장근처에서 살고자 하는 욕구, 신규 주택을 선호하는 취향 등을 감안하면 서울과 수도권에는 아직도 많은 아파트의 수요가 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아파트 건설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그동안 기존 주택이 노후되는 것을 감안해야 합니다. 반면 지방에는 충분한 주택에 인구도 줄고 있음(젊은이들의 수도권 이동 등)을 감안하면 오래된 주택 등에 공가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지방에는 이미 주택이 충분히 보급이 되어 있다보니 상대적으로 인기가 없는 것 입니다. 물론 지방도 지역에 따라서 수요가 부족한 곳도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지방의 경우 부동산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또한 굳이 공공임대를 들어가지 않아도 민간임대나 민간아파트를 선호하는 경향도 강하고 무엇보다 공공임대주택이 외곽에 많이 자리잡고 있어서 인기가 없는 편입니다.
또한 소득 및 자산기준에 부합되고 입지가 좋은 곳은 인기가 좋아서 들어가기 힘듭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은 인구가 많은 관계로 집값이 비싸서 공공주택에 서로 입주하려고 합니다
경쟁률이 치열합니다
지방은 아무래도 인구감소와 찾는분이 덜해서 인기가 덜하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지방은 비교적 집값이 낮고 임대료도 낮다보니 임대주택에 대한 좋지않은 인식들로 인해 회피심리가 큰것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