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등원시 뒤도 안돌아보고 들어간 아이 이유는?
어린이집 등원을 하는데 아이가 인사는커녕 쳐다보지도 않고 그냥 들어가더라구요 처음이런일이 있는건데 어린이집 선생님도 놀랐어요 아이가 왜 그런걸까요? 아침에 저한테 기분이 상한걸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등원 시 뒤로 안 돌아보고 들어간 이유는
원에서 자유선택활동 시간이 있습니다. 자신이 원하는 놀이를 하려면 그 영역에 일찍 들어가야 놀이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친구 보다 그 영역 선택을 먼저 하여 놀이를 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기 때문에 엄마에게 인사를 하는 것 조차 잃은 채 뒤로 안 돌아보고 교실로 들어간 것 같아요,
하지만 아무리 놀이욕심 때문에 엄마에게 "다녀오겠습니다" 인사도 하지 않고교실로 들어가는 것은 예의에 어긋난 행동 이라는 것을 알려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원에서 하원을 하고 가정에 돌아오면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원에서 엄마와 헤어질 때 인사도 안하고 교실로 들어가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단호하게 말을 해주고, 왜 원에서 엄마와 헤어질 때 인사를 하지 않고 들어가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침에 기분이 상한 것일 수 도 있지만, 아이가 그럴 경우 보통은 부모에게 반항하는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뒤도 돌아보지 않고 들어갔다면 아ㅁ의 감정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 적응하며 자신감고 독립성을 느끼기 시작했을 수 있습니다. 다른 친구들과 잘 놀고, 선생님과도 친해졌다면 그런 모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우선, 아이가 어린이집에 대한 적응이 잘 되어 있을 경우, 스스로 더 독립적인 모습을 보이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긍정적인 신호로, 아이가 환경에 편안하게 적응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또한, 아침에 부모와의 대화나 상황이 아이의 감정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침에 부모와의 갈등이나 스트레스를 경험했다면, 그 감정이 아이의 행동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으며, 아이가 대인 관계에서의 안전함을 느끼고 있을 경우 이렇게 행동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아이가 특별한 이유 없이도 가끔씩 이런 행동을 보일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어린이는 그날의 기분이나 상황에 따라 반응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그때그떄 기분이 다르다고 보셔야 되겟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아이들이 부모님에게 섭섭하다기 보다는 아이가 어린이집에 가서 친구들과 놀고 싶은거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게 아니면 선생님이 좋다거나 장난감을 가지고 놀 생각을 할 수도 있겠습니다. 이는 우리 아이들의 성격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아이가 가기 싫다고 우는게 아니라면 아주 좋은 증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마도 기분이 상했거나 어린이집에 기대하는 일이 있어서 설레는 마음에 그랬을수있습니다 아이 만나면 왜 그랬는지 물어보세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말씀 하신 대로 아침에 기분이 안좋았을 수도 있습니다.
또는 유치원에서의 어떤 어려움이나 불안함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하원 후에 아이와 대화를 통해서 최근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행동변화는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에 익숙해져 독립성을 느끼거나 아침에 기분이 상했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와 대화하며 감정을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갑작스러운 행동 변화는 여러가지 이유일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에 익숙해져서 독립적으로 들어가고 싶어하는 것일 수도 있고, 아침에 기분이 상했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와 대화해 감정을 확인해보고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