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제1 금용권과 제 2금용권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시중에는 많은 은행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은행들이 모두 같은게 아니라 1금용권과 2금용권 이렇게 다르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다르고 각각 어떤 은행들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1금융권은 은행법의 적용을 받는 금융기관이며

    시중의 국민은행, 하나은행 등이 이에 속하빈다.

    2금융권은 은행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금융기관으로

    증권사, 보험사 등이 해당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1금융권이란 흔히 알고 계시는 시중 은행들을 1금융권으로 분류합니다. 그리고 시중 은행을 제외한 여타의 다른 금융사들, 즉 보험사, 종금사, 저축은행 등을 2금융권으로 분류를 하지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1금융권과 2금융권은 우선 규모에서 큰 차이가 있으며 목적에 차이가 있습니다

    • 1금융권은 상대적으로 고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대출을 진행하며 2금융권은 중저 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중금리 대출을 위주로 진행하는 금융기관입니다

    • 1금융권의 시중은행은 5대 은행인 KB,NH,하나,신한,우리은행이 있으며 2금융권은 저축은행 79개를

      포함하여 새마을금고, 수협 등 협동조합 은행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제1금융권은 주로 은행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은 금융기관입니다.

    제1금융권 은행은 한국은행의 규제를 받으며, 일반적으로 대출, 예금, 외환 거래 등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주요 제1금융권 은행에는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이 있습니다.

    제2금융권은 제1금융권 외의 다양한 금융기관들을 포함합니다.

    제2금융권은 상호금융, 보험사, 카드사, 저축은행, 금융투자회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 엄격하거나 특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주요 제2금융권 기관에는 농협, 신협, 보험사(예: 삼성생명, 한화생명), 카드사(예: 삼성카드, 현대카드), 저축은행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 제1금융권

      제1금융권의 특징은 은행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제1금융권의 종류는 일반은행과 특수은행으로 구분됩니다.

      일반은행은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SC제일은행, 씨티은행,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케이뱅크

      특수은행은 SH수협은행, NH농협은행

      KDB산업은행, IBK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제1금융권은 은행법의 적용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감독을 받기 때문에 안정성과 신뢰성이 있습니다.

    다소 엄격한 대출 심사를 통해 자산의 안정성을 관리합니다.

    안정적인 자산 운용으로 인해 대출 금리가 낮습니다.

    • 제2금융권

      제2금융권은 은행법의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대신, 각종 금융 관련 법이 적용되어 금융 제도권 내에 있는 금융기관입니다.

      제2금융권의 종류는 금융투자회사, 보험회사, 카드회사, 캐피탈, 저축은행, 상호금융기관(새마을금고, 신협 등)

    제2금융권은 제1금융권보다 대출 심사가 까다롭지 않습니다. 대신에 신용등급이 낮은 고객들이 포함되어 있어 안정적인 자산 관리가 안 될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제1금융권보다 높은 금리로 대출을 실행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의 차이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제1금융권, 제2금융권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제1금융권 기관들에게는 은행법이 적용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제2금융권은 은행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제1금융권을 기준으로 말씀을 드리자면

    일반은행과 특수은행으로 나눌수가 있습니다.

    특수은행 중 국책은행으로는 KDB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IBK기업은행이 있고

    특수은행으로는 NH농협은행, SH수협은행이 있죠.

    그리고 일반은행으로는 우선 국내시중은행은 KB,신한,우리,하나은행이 있고 외국계 시중은행에는 SC제일, 한국 씨티은행이있습니다.

    지방은행으로는 대구,부산,광주,제주,전북,bnk경남은행이있고 마지막으로 인터넷만 하는 인터넷 전문은행에는 카카오, 토스, 케이뱅크가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은행들이 제1금융권이고 제2금융권은 은행들을 제외하고 모든 증권 보험사 저축은행들을 제2금융권이라고 합니다.

    제1과 제2금융권의 가장 큰 차이는 수표 발행여부이고, 보통 제1금융권이 안정적이라서 금리가 낮다는 특징이 있습니다ㅡ 그래서 대출은 제1에서 예금은 제2에서 하는경우가 많죠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1금융권은 은행법에 의해 설립되며 허가 조건이

    매우 까다롭고 정부규제에 의해 많은 제약이

    있습니다.

    2금융권은 여신운용법에 의해 설립되어 허가

    조건이 완화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1. 제1금융권: 주로 상업은행, 지방은행, 외국은행 등이 포함됩니다. 이들은 예금 수취와 대출을 주된 업무로 하며, 중앙은행의 규제를 받습니다. 예를 들어,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이 제1금융권에 속합니다.

    2. 제2금융권: 제1금융권 외의 금융기관으로, 주로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보험사, 증권사 등이 포함됩니다. 이들은 대출과 투자, 보험 등의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제1금융권보다 규제가 덜하고,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BI저축은행, NH농협신용카드 등이 제2금융권에 해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1금융권은 소위 우리가 잘 아는 국민은행, 기업은행, 하나은행 등이 있고 2금융권은 저축은행들이 있습니다.

    참고로 이 둘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제1금융권은 은행법의 적용을 받고, 예금을 취급하는 금융기관들이 해당돼요.

     

    2.

     

    제2금융권은 은행법의 적용을 받지 않고, 전문적인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금융기관들이 해당돼요

    .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은 1금융권과 2금융권으로 나뉘는데 1금융권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많이 아는 시중은행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같은 곳이 있습니다. 1금융권 은행들은 예금과 대출을 주로 하며 안전하고 정부 감독을 받는 것이 특징입니다.

    2금융권은 저축은행, 보험사, 카드사 같은 곳이 포함되며 이곳들은 더 높은 이자율을 제공하지만 위험이 조금 더 클 수 있습니다. 그래서 1금융권은 안정적인 거래에 적합하고 2금융권은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때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