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맥박리인데 수술안해도 될까요?
심장은 찮은데 대동맥바리입니다 그래서 수술없이 약을 먹고 있는데 어느정도 괜찮을까요? 요양병원에서 케어만 하시면 좀더 오래 사실수 있을까요? 혈압을 낮추고 기관지에 가래만 제고하거 하고 있는중이고 약만 먹고 있습니다 상담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송재민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올려주신 내용 잘 확인 하였습니다. 걱정이 많이 되시겠습니다
안타깝지만 대동맥박리도 경한 수준이있고, 바로 수술이 필요한 중한 수준이 있기 때문에, 말씀하신 증상 소견만 놓고는 이곳에서 정확한 상태 파악 및 감별 진단을 내릴 수는 없겠으며, 요양병원에 계시다면 여러 질환들 때문에 수술이 불가능한 상황일 수도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대동맥 박리는 어떤 원인에 의해 대동맥의 내막이 찢어지면서 대동맥 안에 있는 혈액이 대동맥 혈관 벽 안으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내층과 외층으로 분리되는 질환으로 발생 위치와 진행 방향, 급성인지 만성인지에 따라서 수술 여부가 결정됩니다.
걱정이 되시겠으나 적어주신 내용만으로는 답변이 어렵기 때문에 진단 받은 병원을 방문하여 상담을 받을 것을 권하며 높은 혈압은 박리를 더 악화시킬 수 있어 철저한 혈압과 맥박의 조절이 필요하겠습니다.
하행 대동맥에만 침범된 경우도 파열이나 파열의 임박이 의심되는 경우, 지속적인 흉통을 호소하는 경우, 내과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박리가 진행되는 경우, 중요한 장기로 가는 혈류가 손상을 받는 경우에는 수술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대동맥 박리가 복부쪽인가요, 아니면 흉부쪽인가요?
심장 근처쪽으로 찢어지고 있는 양상이라면 반드시 수술이 필요한 상황이고요
복부 대동맥류 양상이 있다고 하더라도 크기에 따라 수술 절대적응증이 상이할 수 있으나, 약물로 보존적 처치할경우 혈압상승을 최대한 막고, 증상 지켜보는 것입니다.
고령의 경우 수술을 한다 하더라도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수술 진행 유무는 담당주치의와 잘 상의하는게 중요해보입니다. 답변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대동맥 박리가 있다고 하여서 무조건 다 수술하여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동맥 박리의 종류에 따라서 수술적 치료 없이 혈압을 낮추는 등 약물 치료를 통해서도 회복을 기대해볼 수도 있습니다. 이야기하신 내용을 가지고 구체적인 박리의 종류를 알 수 없고 어떠한 상태인지 명확하게 파악을 할 수 없어 이보다 자세하게 무언가 이야기를 하기는 어렵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