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입안에서 입냄새가 많이 나는 분들이 주위에 종종 있어서 한번씩 이야기할때 냄새로 힘든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39

직장에서 나이드신 분들중 간혹 이야기를 하면 입냄새가 주위에 많이 퍼져서 대화를 나누기가 쉽지 않은데

입냄새가 심한분들이 입냄새를 줄이는 방법은 무엇이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 대화를 하기 어려우면 어떻게

행동을 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커피나 흡연으로 인해 구취가 심할수도 있고

    충치로 인해서 구취가 심할수도 있습니다.

    치과 진료도 권유해보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입 냄새의 주된 원인은 구강 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과 진료를 받은지 시간이 지났다면 검진과 스케일링을 받을 것을 권하며 치주질환이나 충치가 동반된 경우 치료가 필요하겠습니다.

    편도결석도 입냄새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치과적 문제가 없다면 이비인후과 진찰을 권하며 음주, 흡연, 카페인 섭취를 피하기 바랍니다.

    마스크를 착용 시 대화시 구취를 막는데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입냄새, 흔히 말하는 구취는 많은 사람들이 겪는 문제 중 하나로, 사회적 관계에서 불편함을 줄 수 있습니다. 입냄새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구강 위생이 좋지 않거나,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세균이 번식하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외에도 편도 결석, 충치, 치주질환, 또는 특정 음식, 흡연, 음주 등이 그 원인이 됩니다. 드물게는 위장 문제나 다른 내과적 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구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먼저 구강 위생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사 후에는 가능한 한 빨리 양치질을 하고, 치실을 사용해 치아 사이에 남아있는 음식물을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혀 클리너로 혀를 깨끗이 청소하면 혓바닥에 남아있는 세균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구강청결제를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구강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 외에도 그 원인이 되는 음식을 피하거나 줄이는 노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대화를 나누는 중에 입냄새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라면, 가능한 한 부드럽고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상대방에게 입냄새에 대해 직접적으로 지적하기보다는, 긍정적인 방향에서 구강 건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거나, 관련된 경험담을 자연스럽게 공유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기회가 되면 정기적인 치과 검진을 권장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이러한 방법들이 질문자분의 상황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입냄새의 주요 원인은 입안 위생 문제(치석, 설태, 잇몸질환 등), 구강 건조, 위장 문제, 그리고 만성 부비동염 같은 비강 관련 질환일 수 있습니다. 특히 노년층은 타액 분비가 줄고 치아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아 입냄새가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입냄새를 줄이기 위해선 정기적인 치과 검진, 혀 클리너를 이용한 설태 제거, 수분 섭취 증가, 무설탕 껌 등을 통한 침 분비 촉진, 그리고 필요 시 위장 약 복용이나 이비인후과 진료가 도움이 돼요

    특히 혀의 뿌리 쪽을 잘 닦지 않으면 세균이 번식하며 심한 냄새를 유발하니 설태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직장 등에서 대화를 나눌 때 상대방의 입냄새가 강하게 느껴지면, 직접적인 언급은 자존심을 상하게 할 수 있으므로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 대화 시 자연스럽게 거리를 유지하거나 약간 몸을 틀어 공기의 흐름을 바꾸는 방식으로 완화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회의실 내 환기를 자주 시키고, 가글이나 사탕 등을 함께 나누는 상황을 만들어 우회적으로 도움을 줄 수도 있을 듯 해요

    예를 들어 “이거 입이 개운해져서 좋더라고요~ 드셔보세요” 식의 자연스러운 제안이 효과적일 수 있죠

    직장 분위기나 관계에 따라 다르지만, 친분이 있고 개선 의지가 느껴지는 분이라면 조심스럽게 건강 관련 조언처럼 접근해보는 것도 가능하긴 합니다. “혹시 요즘 입 안이 좀 건조하신가요? 저도 그랬는데 이 가글 쓰고 좀 나아졌어요” 같은 식으로 간접적으로 언급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불편함이 반복된다면 인사팀이나 상급자에게 익명으로 건의하는 방법도 마지막 수단으로 남겨둘 수 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