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흡혈박쥐가 인슐린을 만드는 유전자가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흡혈박쥐는 인슐린을 만드는 유전자가 없다고 하는데요 왜 당조절을 하는 인슐린을 만드는 유전자가 없는지 그 이유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흡혈박쥐가 인슐린을 만드는 유전자가 없는 이유는

    혈액을 먹기때문입니다.

    혈액은 일정한 당을 제공하기때문에

    인슐린이 없어도

    혈액내 당을 적절히 유지할수있습니다.

    즉, 섭취하는 먹이의 당의 농도가 대부분

    일정하고 섭취하는 패턴만으로도

    당을 적절히 유지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흡혈박쥐도 인슐린 유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모든 포유류는 혈당 조절을 위해 인슐린을 생산하는데, 흡혈박쥐 역시 예외는 아닙니다.

    흡혈박쥐는 피를 주식으로 하기 때문에 탄수화물 섭취가 거의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흡혈박쥐는 단순히 피만 먹는 것이 아니라, 피 속에 포함된 영양분을 소화하고 흡수합니다. 피 속에는 포도당과 같은 탄수화물도 일정량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혈당 조절을 위한 인슐린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인슐린은 단순히 포도당만을 조절하는 호르몬이 아닙니다. 몸의 여러 가지 대사 과정에 관여하며, 특히 혈액 내 포도당 농도를 조절하여 세포 내로 포도당을 이동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흡혈박쥐 역시 세포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인슐린이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흡혈박쥐도 다른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인슐린을 생산하며, 이는 혈당 조절과 에너지 대사에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인슐린 만드는 유전자가 없는 이유는 독특한 식습관 때문입니다. 주로 다른 동물들의 피를 흡혈하기 때문에 대사와 유전자에 영향을 미치게 되서 그렇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흡혈박쥐는 오로지 피만 먹는 식생활에 적응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유전자를 잃었는데요, 대표적으로 인슐린 분비와 관련된 유전자 (FFAR1, SLC30A8), 글리코겐 저장을 제한하는 유전자 (PPP1R3E), 위와 관련된 유전자 (CTSE), 한정된 영양소에 적응하는 데 관련된 유전자 (ERN2, CTRL) 등입니다. 혈액은 칼로리가 아주 낮은 액체이기 때문에 포유동물이 먹고 생존할 수 없지만, 박쥐는 포유류 가운데 유일하게 흡혈이 가능한데요, 연구 결과 이런 흡혈박쥐에게는 특별한 유전자가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독일 연구팀이 흡혈박쥐의 유전체를 26종의 다른 박쥐들과 비교해 봤는데요, 박쥐의 유전자 가운데 13개가 흡혈박쥐에서는 파괴되거나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유전자의 변형이 박쥐의 인슐린 분비를 감소시키고 피의 맛에 덜 민감하게 만들어주는 등 혈액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결국, 오랜 시간에 걸친 진화를 통해 흡혈박쥐가 지방이나 탄수화물이 아주 적은 혈액을 먹고도 살 수 있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흡혈박쥐는 주로 단백질이 풍부한 피를 식사로 하는데요

    인슐린이 필요로 하지 않는 특수한 대사 경로를 진화 했습니다.

    이들은 혈당 조절 대신 혈액 내의 단백질 분해 과정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 방식으로 적응 했다빈다.

  • 흡혈박쥐는 혈액만 먹기 때문에 혈당 변화가 크지 않아 인슐린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인슐린 유전자가 퇴화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흡혈박쥐가 인슐린 유전자가 없는 이유는 특별한 식습관과 에너지 대사 방식 때문입니다. 흡혈박쥐는 주로 혈액을 먹고 살기 때문에, 포도당 대사에 의존하지 않고 혈액 속 아미노산을 빠르게 에너지로 전환합니다. 따라서 인슐린을 통한 혈당 조절이 필요하지 않으며, 관련 유전자가 퇴화되었거나 기능이 없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대신, 이들은 혈액 섭취 후 즉각적으로 아미노산을 소화하고 에너지를 생성하는 효율적인 대사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생존에 적합하게 진화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