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rogermaan
rogermaan22.11.23

밤하늘에 별들이 반짝입니다 저 어두운 밤 하늘이 무엇 때문에 별이 반짝이는 것입니까

밤하늘에 수많은 별들을 감상하곤 하는데요 저 캄캄한 밤하늘 속에서 별들이 어떻게 해서 반짝일 수 있는지를 생각하면 참 신기하기만 합니다 밤하늘에 별들이 반짝일 수 있는 원리는 무엇입니까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3

    밤하늘에 반짝이는 대부분의 별은 모두 항성입니다.

    항성은 태양과 같이 핵융합반응을 통해 스스로 빛과 열을 내며 움직이지 않는 천체를 말합니다.

    밤에만 보이는 이유는 태양빛이 강하여 별들의 비ㅉ을 모두 가리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별 중에는 크게 2종류로 나눌수 있는데요.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이 있고 스스로 빛을 내지 않는 행성이 있습니다.

    별이 반짝이는 것은 항성일 수도 있고 항성에 의해 빛이 반사시키는 행성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밤에 눈으로 보이는 별들은 모든 행성들입니다. 이 행성들은 스스로 빛을 내거나 또는 태양빛이 반사되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이 반짝이는 이유는 인공위성, 지구 대기현상이나 우주 먼지, 해당별 근처의 빛의 상태, 빛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변광성, 두 별이 돌아가는 쌍성 등등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중요하지만 보이지 않는 공기가 있기 때문입니다. 공기는 기체 분자들이 가득 모여있습니다. 빛이 이 공기를 지나 우리 눈에 들어오기까지, 빛과 공기의 상호작용, 산란, 굴절 등이 일어나게됩니다. 그래서 완벽히 직진하여 우리눈에 들어오지 못하죠. 그래서 아지랑이가 생기거나 아른아른하게보이며, 반짝거리기도하는 것입니다!


  • 별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서 반짝입니다.

    스스로 빛을 내는 경우와 반사되어서 빛을 내는 경우입니다.

    대표적으로 달이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태양에 반사된 면만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 외 멀리 떨어진 별들이 반짝 빛나는 경우는 수소와 헬륨의 핵융합 반응으로 인해 반짝 빛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