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별이 유난히도 밝은...
별이 유난히도 밝은...22.12.08

삼국시대 고구려벽화 문양등에는 삼족오가 많이보이는데요 삼족오가 상징하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삼국(고구려.백제.신라등)시대 고구려벽화 문양등에는 유난히 삼족오의 형상이 많이 등장하는데요 삼족오가 국가이념이나 건국이념에 미친 상징성의 의미는 무엇이었으며 문양에서도 삼족오는 다양성을 보이는데 또한 어떤의미가 담겨있는 건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양신화에 태양속에 산다는 까마귀로 태양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태양안에 살면서 인간과 천상의신과 연결해주는 새라고 합니다.

    신성한 길조라는 의미가 큽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중국 기록을 보면 삼족오의

    이름은 태양안에 있는 흑점이

    까마귀처럼 보인 데서 비롯하며

    발이 세개인 것에 대해서는 양(陽)을

    나타내는 수라는 설과, 태양을

    달리 일컫는 말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인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삼족오는 발이 3개 달린 까마귀입니다.


    까마귀는 과거에는 아주 성스로운 동물이었습니다.


    태양이 까맣게 변하는 일식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이미 불에 탄 새 까마귀를 (불에 탔기 때문에 까맣다고 생각) 날렸습니다.


    이는 연오랑과 세오녀 이야기에도 잘 나타나있습니다.

    연오랑이 까마귀 잡는 사람, 세오녀는 까마귀를 감싸는 세초비단을 짜는 사람이었는데, 바위가 둘을 일본으로 데려갑니다. 이에 한반도는 태양빛을 잃었죠. 그래서 세오녀가 짠 비단을 받고 다시 태양빛을 되찾았다는 옛 이야기도 있습니다.


    과거 태양을 매우 신성하게 여겼는데, 고구려 여러 벽화에 태양속 까마귀들이 많이 그려져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족오는 중국의 기록을 보면 삼족오는 이름은 태양 안에 흑점이 까마귀처럼 보인 데서 비롯하여 발이 세 개인 것에 대해서는 양을 나타내는 수라는 설과 태양을 달리 일컫는 말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족오는 다리가 세 개인 까마귀로 동아시아 전설에 등장하는 환상종입니다.

    주로 해를 상징했기 때문에 무덤 벽화 등이 그려졌습니다.

    한중일 공통적인 전설로 삼족오가 특별히 우리나에서 중요한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족오(三足烏) 또는 세발까마귀는 고대 동아시아 지역에서 태양 속에 산다고 여겨졌던 전설의 새입니다. 해를 상징하는 원 안에 그려지며, 종종 달에서 산다고 여겨졌던 원 안의 두꺼비에 대응된다고 할수 있습니다. 중국의 양사오 문화, 한국의 고구려 고분 벽화, 일본의 건국 신화 등 동아시아 고대 문화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동양문화권에 삼족오가 있다면 서양에서는 피닉스가 있지요. 불사조로 불라는 피닉스는 아라비아 사막에 살며 500년마다 스스로의 몸을 불태워 죽고 그 재 속에서 부활 또는 재생한다는 전설의 새입니다. 고구려군 깃발의 문양으로 흔히 등장하는 삼족오를 고구려의 고유한 상징 문양으로 오해하는데 머리에 볏이 있는 삼족오는 한국 고유의 삼족오가 맞지만, 금관, 백제금동대향로 문서에 있는 사진처럼 볏이 달린 새로 하는 장식은 신라, 백제에도 있어서 볏이 오직 고구려만의 상징이라고 말하기는 힘들며, 고구려의 상징으로서 등장하는 삼족오는 그냥 후손들이 하나의 문화 재해석으로 활용한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