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E가 높을수록 좋기는 하지만 어느정도되면 유망하다고 생각될까요?
재무재표를 보다가보면 ROE가 높을수록 좋다는 애기를 많이 듣습니다 아무래도 얼마나 돈을 벌었는지랑 가장 직접적인 수치를 보여주니 가장 중요시하게 보기는 해야하는데 ROE가 어느정도일때 유망하다고 말할수있을까요?
저는 20정도라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ROE가 높은 것이 좋은 것인데 어느 정도가 되면 유망하다고 생각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ROE는 Return On Equity를 의미하며 자기자본이익률을 의미합니다.
즉, ROE가 높을수록 회사의 자본 활용 능력이 뛰어나고 수익성이 좋다고 평가되기에
가능하면 높은 수치일수록 유망하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ROE와 같은 경우에는 정해진 비율은 없으나
보통 워런버핏은 15% 이상의 기업에 투자하며
20% 이상의 기업도 우량한 회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ROE가 높을수록 자본 효율이 좋은 기업으로 평가되지만, 업종별 평균 ROE 차이가 큽니다. 예를 들어 금융업은 8~12%, IT는 소비재는 15% 이상이 유망합니다. 다만, 단순히 ROE 수치만이 아니라 성장률과 수익 지속 가능성도 중요해, 높은 ROE와 함께 꾸준한
매출•이익 성장세를 보이는 기업이 장기 투자에 적합합니다. 업종 특성과 성장성 모두 고려해야 현명한 판단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ROE 15% 이상이면 우량 기업, 20% 이상이면 매우 높은 수준으로 평가합니다. 20% 이상이면 매우 높은 수준으로 평가합니다. 20%는 고객님께서 생각하시는 것처럼 매우 훌륭한 수치이며, 꾸준히 이 수준을 유지한다면 투자 매력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ROE는 업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입니다. 예를 들어, 자본 투자가 많이 필요한 제조업보다는 소프트웨어 산업의 ROE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업종의 기업과 단순 비교하기보다는 동종 업계 내 경쟁사들의 ROE와 비교하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ROE 20%는 매우 유망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훌륭한 기준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ROE는 현재 시장금리랑 비교합니다 즉 주주자본 즉 주주의 지분가치는 지분입니다 지분가치합계가 주주의 자산입니다 ROE는 이 자본에 대한 이익률을 말합니다
다시 말하면 ROE가 시장금리보다 높아야 하며 주식은 위험프리미엄이 있으므로 주주요구수익률은 시장금리보다 배이상 높아야하고 이로인해서 10프로이상은 되어야 하며 국내 코스피기준 평균은 7프로내외수준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ROE는 자기자본 대비 이익률로 일반적으로 15% 이상이면 우량, 20%이상은 매우 우량입니다.
지속적으로 높은 ROE를 유지하는 기업은 경쟁력과 수익성이 높다는 신호입니다.
하지만 너무 높은 ROE는 부채과다일 수 있어 부채비율과 함께 판단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ROE가 최근 3년간 연평균 15%이상인 종목은 투자하기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1년 20% 보다는 3년 연평균으로 산정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ROE라는 게 단순히 숫자만 보고 판단하기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업종마다 구조가 다르고 자본 규모나 성장 단계에 따라 차이가 크니까요. 보통 10을 넘으면 안정적이라 보는 시각이 있고 15 이상이면 꽤 괜찮다는 얘기도 많습니다. 20이면 확실히 눈에 띄는 수준이라 투자자 입장에서는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