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구름의 색이 어두운 색(회색빛)을 띄는 과학적인 이유가 있나요?
먹구름의 색이 어두운 색(회색빛)을 띄는지 궁금합니다. 사실 비가 내리기 위해서 수증기가 응집해 있다고 생각을 해도 색상이 왜 어두운 색을 띄는지 모르겠습니다.
요즘에 공기질이 좋지 않아서 미세 먼지 등이 포함되어 그런 색을 띄는 것인지, 수증기와 구름 내부에 어떠한 성분과 결함되어 있는 상태라 그런 색상을 나타내는 것인지 과학적으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검게 보이는 구름은 수직으로 발달한 적운형 구름에서 주로 나타납니다. 구름이 하얗게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때문이고, 구름속의 물방울에서 모든색은 산란되어 빛의 원 색인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수직으로 발달한 적운형 구름에서는 상층의 물방울이 빛을 모두 산란, 흡수, 반사 시켜 하층으로 내려오는 빛이 매우 약해져서 빛이 내려오지 못해 검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 적운형 구름을 반대로 하늘 위에서 보면 하얗게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은 비가 내릴 수 있는 구름이고, 일반구름과 달리 수증기, 물의 함량이 높고 물의 크기도 큰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빛이 이를 산란하지 못하고 흡수되어 어둡게 보이는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구름이 흰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구름을 이루는 물방울과 얼음 입자가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곧 비가 내릴 먹구름이 검은 이유는 물방울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물방울이 커지면 빛을 반사하는 양보다 흡수하는 양이 더 커지게 됩니다.
반사하는 빛의 양이 적으니 검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질과 먹구름은 상관이 없습니다.
먹구름은 비 알갱이가 많이 모여서 빛들을 흡수해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이 줄어 어둡고 검고 회색으로 보이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