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너무더워
너무더워

왜 인간은 동물보다 뇌가 더 발달했나요?

안녕하세요.

다른 동물들에 비해서 인간의 뇌는 그 크기가 상당히 발달하여 왔습니다. 인간의 뇌가 다른 동물들에 비해 더 발달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이는 진화의 관점인데요

    필요한 부분과 불필요한부분이 다르게 진화를 해 왔기 때문입니다.

    과거 인간의 뇌가 지금 인간의 뇌보다 작았던것 처럼 점점 필요에 의해진화를 해온거죠

  • 결론적으로는 인간의 생존에 유리했기 때문입니다.

    먼저 인간은 매우 사회적인 동물이며, 복잡한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다른 개체들과의 협력, 경쟁, 의사소통, 감정 이해 등 고도의 인지 능력이 필요했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압력이 뇌의 크기와 복잡성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했을 것이라는 '사회적 뇌 가설'입니다.

    또한 직립 보행을 통해 손이 자유로워지면서 인간은 정교한 도구를 만들고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도구의 제작과 활용은 추상적 사고, 문제 해결 능력, 예측 능력 등을 요구하며, 이는 뇌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즉, 뇌의 발달로 지능이 증가하고, 증가한 지능으로 더욱 효율적인 도구를 만들게 되는 선순환이 일어났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인간 줄기세포로 만든 뇌 오가노이드를 연구한 결과, 인간의 신경 전구세포는 원통형 모양을 더 오래 유지하여 증식할 수 있는 시간이 길어지고 더 많은 뉴런을 생성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는데, 이러한 세포 수준의 차이가 인간 뇌의 뉴런 수를 증가시키는 데 기여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이를 유전적으로 보면 인간 특이적인 유전자 복제가 뇌의 크기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는데, 이러한 유전자들은 뇌의 피질 신경세포 수를 늘리는 데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것이죠.

    결국 인간은 특성에 맞춰 살아남기 위해, 그리고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뇌를 발달시켰다는 것이 가장 주된 부분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인간의 뇌가 다른 동물보다 발달한 것은 여러 진화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직립 보행으로 인한 손의 자유로운 사용, 도구 제작 및 활용, 복잡한 사회생활을 통한 협력과 의사소통의 필요성 증가, 그리고 언어의 발달 등이 뇌의 크기와 복잡성 증가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또한, 육식 섭취와 불의 사용으로 인한 효율적인 에너지 획득은 에너지 소모가 큰 뇌의 발달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며 뇌의 신경세포 수와 시냅스 연결을 증가시켜 지능 발달을 촉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