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원화 약세, 원화 강세는 어떤 의미인가요?

뉴스기사를 보다보면 원화 약세, 원화 강세 이런 말이 나오는데

원화 약세, 원화 강세는 어떤 경우에 쓰는 것이고

우리나라 경제에는 어떤 것이 좋은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화가 약세라는 것은 원화화폐의 가치가 상대국가의 화폐가치에 비해서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원화가 강세라는 것은 상대 국가의 화폐가치에 비해서 원화가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달러대비 원화 약세 - 달러환율 상승

    • 달러대비 원화 강세 - 달러환율 하락

    일반적으로 달러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수입하게 되는 원자재의 가격이 상승하여서 국내에는 인플레이션 상승이라는 결과로 이어지게 됩니다. 반대로 달러환율이 하락하게 되면 우리나라 수출기업들이 대외 가격경쟁력이 하락하게 되어서 수출실적이 하락하기 때문에 환율은 적정수준선에서 지속적으로 유지가 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즉, 환율은 올라가는 것도 좋지 않고 내려가는 것도 좋지 않기 때문에 다른 국가들과 비슷한 수준의 환율에서 계속해서 유지가 되는 것이 통화정책을 펼치기에 안정적인 조건이 되는 것이라고 이해를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화가 약세라는 표현은 다른 통화에 비해 원화의 가치가 하락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원화 약세는 경기 침체, 높은 인플레이션, 정치적 불안정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원화 강세는 다른 통화에 비해 원화의 가치가 상승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강한 경제, 낮은 인플레이션, 정치적 안정과 같은 요인이 원화 강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강한 통화는 세계 시장에서 한 국가의 수출 경쟁력을 높이고 외국인 투자를 유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경제에 좋은 것으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 강한 통화는 수출 비용을 높이고 해당 국가 제품에 대한 수요 감소와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통화의 강도는 다양한 경제적, 정치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약세 강세 표현은 달러대비 입니다. 달러대비 약하면 원화 약세라고 하고, 반대로 강하면 원화 강세라고 합니다.

    원화 약세면 달러가 비싸기 때문에 수입물가는 급증합니다. 그러면 소비자 물가가 올라가게 됩니다.

    그리고 원재료를 전량 수입하는 한국의 경우 기업들의 제품 원가 부담이 증가하여 영업이익에 크게 훼손 됩니다.

    반대로 원화 강세면 달러가 싸지기 떄문에 물가는 하락합니다. 하지만 수출기업들이 많은 한국의 경우 원화 강세면 수출경쟁력이 떨어져서

    해외 시장에서 일본이나 중국에게 밀릴수 있습니다.

    둘다 장단점이 있어서 머가 좋다고는 할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화 약세와 강세는 환율을 설명할 때 원화의 가치가 상승하는지 하락하는지를 설명해 주는 것 입니다.

    원화 강세는 원달러 환율이 하락(1400원/달러 -> 1200원/달러)하여, 원화 가치가 상승한 것으로 의미하고, 원화 약세는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여 (1200원/달러 -> 1400원/달러) 원화 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달러에 비해 원화가 비싸지면 원화 강세,

    달러에 비해 원화가 싸지면 원화 약세가 됩니다,.

    위안화나 엔화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지만 보통 달러에 대해 사용됩니다.

    원화 강세면 원화가 비싸므로 수출이 불리해지는 반면 달러로 표시되는 수입 물건이 싸집니다.

    반대로 원화 약세면 원화가 싸므로 원화 물건도 싸져서 수출이 유리해지지만 달러가 비싸서 수입 물가는 올라갑니다.

    절대적으로 좋고 나쁨은 없습니다만 일정 선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