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왕을 지칭할때 누구에는 대왕을 붙여주고 일반적으로 정종, 태종으로 끝나는데 차이는 뭘까요? 그리고 대왕은 언제 붙여서 불려진걸까요?
왕을 지칭할때 세종대왕은 대왕을 붙이고 다른 왕은 정종, 태종같이 일반적으로 부릅니다. 대왕을 붙인것과 그렇지 못한 왕의 차이는 뭘까요? 그리고 조선시대에 이미 세종은 세종대왕으로 불린걸까요? 아니면 후세에 붙여주는 칭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역사교육을 전공했던 저에게 가르쳐 주셨던 교수님께서는 조의 경우 나라를 세우거나, 대변혁의 시기에 왕에 오르면 조, 그리고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종을 준다라고 하셨는데 사실 이건 일반적인 것은 아니라 하셨죠.
태조(건국) - 정종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왕위 찬탈로 왕이 됨) - 예종 - 성종 - 연산군 - 중종(반정으로 왕이 되었으나 종) - 인종 - 명종 - 선조(임진왜란?) - 광혜군 - 인조(반정으로 왕이 됨) - 효종 - 현종 - 숙종 - 경종 - 영조(?) - 정조(?) - 순종 - 헌종 - 철종 - 고종 - 순종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대왕'은 특별히 좋은 일을 했거나, 나라를 잘 다스렸거나 하는 훌륭한 왕에게 붙어지는 특별칭호 입니다.
~종은 일반적으로 평범한 왕에 붙여지는 칭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