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본드라는게 정확하게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뉴스를 보고 있는데 뉴스에서 코코본드라는 말이 나오더라구요. 대충 채권같은걸 말하는것 같은데 코코본드가 정확하게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코본드라는 것이 유사시 투자 원금이 주식으로 강제 전환되거나 상각된다는 조건이 붙은 회사채를 말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유사시 투자 원금이 주식으로 강제 전환되거나 상각된다는 조건이 붙은 회사채를 말합니다.
코코본드에는 역(逆)전환사채, 의무전환사채(강제전환사채) 등이 있습니다. 일반 전환사채(CB)의 경우 전환권이 채권자에게 있지만 역전환사채는 채권자가 아닌 사유 발생에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발행사가 부실금융회사로 지정될 경우 투자 원리금 전액이 상각돼 투자자가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대신 일반 회사채보다 높은 금리를 지급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조건부 전환사채입니다. 이 채권은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상각될 수 있습니다
시사경제용어 사전으로확인하면 코코본드란 '발행 당시 정한 특정요건(triggerevent) 발생시 주식으로 전환되는 증권을 말하며 발행형태는 채권이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주식으로 바뀌게 되는 채권과 주식의 속성을 동시에 지닌 증권'을말한다고 합니다.
'손실을 즉시 흡수할 수 있는 자본과는 달리, 사전에 조건부 자본 발행요건에 명시된 위기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주식으로 강제 전환되거나 상각된다는 조건이 붙은 회사채를 말한다. 글로벌 금융위기 대응과정에서 대규모 공적자금이 투입된 것에 대한 반성으로 투자자 손실 분담 원칙 하에서 은행자본의 질을 강화하고자 도입하였다."는 설명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궁금해서 찾아보니 코코본드란 특정 사유 발생시 주식으로 변환되거나 상각되는 회사채로 평소에는 채권으로 분류되어 자기자본에 포함되는 채권을 말하네용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유사시 투자 원금이 주식으로 강제 전환되거나 상각된다는 조건이 붙은 회사채를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코본드 (CoCo Bond) 에 대한 내용입니다.
코코본드는 Contingent Convertible Bond의 영문 약자로 조건부자본증권을 의미합니다.
코코본드는 전환사채처럼 복합금융상품이지만
투자자가 아닌 발행자에게 전환의 권리가 부여된 채권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종원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코본드란 금융회사가 발행하는 채권의 한 종류로, 조건부자본증권의 영문 약자 입니다.
채권 발행 때 미리 명시한 조건이 발생하면 금융회사가 채권자에게 원금을 갚지 않아도 되는 채권을 말합니다.
금융회사가 빚을 못 갚겠다고 선언하면 채권자가 보유한 코코본드가 주식으로 바뀌거나 채권자에게 원금을 갚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코본드(CoCo Bond)는 "Contingent Convertible Bond"의 약자로,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채권이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상각되는 채권입니다. 주로 은행이 발행하며, 은행의 자본비율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질 경우 자동으로 주식으로 전환되어 자본을 보충합니다. 이는 금융기관이 위기 상황에서 자본을 신속하게 확충할 수 있도록 해 재정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코코본드는 높은 이자율을 제공하지만, 위험이 크기 때문에 투자자들에게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