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22.11.15

새는 전기줄에 앉아도 감전이 안되는 데, 그이유가 뭔가요?

새는 전기줄에 앉아도 감전이 안되는 데, 그이유가 뭔가요?

사람은 전선을 만지지 말라고 합니다. 감전될 위험성이 있어서 그렇지요.

그런데 새들은 감전이 안되나요? 안되면 그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새의 저항이 전깃줄의 저항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새의 두 다리가 전깃줄에 앉게 되면 병렬 연결이 형성됩니다.

    병렬 연결이 되면 저항이 작은 쪽에 전류가 많이 흐르게 됩니다.

    사실상 전깃줄의 저항이 0이기 때문에 참새는 감전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깃줄 두 줄 사이로 새가 앉게되는 경우라면 충분히 감전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저항과 전위차가 대표적인 이유인데요.

    저항은 전류가 흐르는것을 막는 작용을 의미하는데 전깃줄에 새가 앉으면 새의 몸통과 전깃줄이 병렬로 연결됩니다.

    병렬의 경우 저항이 낮은 쪽으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전깃줄로 전기가 흐르게 됩니다.

    그리고 전위차는 전압의 차이를 의미하는데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흐르는 특징이 있습니다.

    전위차가 0이면 전류가 흐르지 않아 감전되지 않습니다.

    새의 경우에는 몸집이 작아서 전선에 접촉된 구간이 매우 적어 전위차가 거의 없어 감전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는 전깃줄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습니다.

    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새가 전선에 착지하게 되면 전선과 병렬로 연결된 셈이기 때문입니다. 병렬로 연결 된 회로에서는 한쪽 저항이 크게되면 저항이 작은 쪽으로 전류가 흐릅니다. 새의 몸은 하나의 저항체로 저항이 매우 큰 전선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새와 병렬로 연결된 전선은 저항이 매우 작은 전선이기 때문에 병렬연결된 상태에서 저항이 작은 전선 쪽으로 전류가 흐르고 새쪽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사람도 매달려 있으면 감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줄위에 새가 두 다리를 모두올려놓고 서있는경우 새의 몸은 회로로서 살펴보면 거대한 저항중 하나입니다.


    즉, 저항쪽으로 전류가 다량 흐르지않고 전기가 잘 통하는 도선만으로 많은 전류가 전달됩니다.


    그러나, 선 두개에 발을 디디거나, 지면과 선 사이가 연결되는순간 몸을타고 전기가 흐르기때문에 감전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