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경제 지표를 이야기 할때 기준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요?
요즘 우리나라의 경제가 좋지 않다고 하는데 경제의 좋고 나쁨은 어떤기준을 가지고 이야기 하는건가요?
주식인지, 국민 총 생산, 환율 등 어떤것이 가장 정합성 있는 기준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경제 성장률 얘기가 많이 나옵니다 작년에 1.4% 였는데 올해 2%대 내년에도 2%대라고 하면 작년에 너무 못 했기 때문에 이번에 2%다라고 보는 것이 높은 수준이 아닌데요 이렇게 경제 성장률을 많이 봅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경제 지표의 기준은 GDP 성장률, 고용률, 물가 상승률, 무역수지, 환율 등 여러 지표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판단합니다.
경제의 좋고 나쁨은 특정 지표보다는 국민 생활 수준과 기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정합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지표를 말할때 국내총생산량(GDP)와 소비자물가상승률을 주로 이야기 합니다.
또한 코스피 지수도 기준이 될 수 있죠. 국내 주식시장의 대표적인지수로 기업의 가치를 보여주어 경제가 어떤지 기준을
잡아줍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우리나라 경제의 좋고 나쁨을 평가할 때 기준이 되는 주요 경제 지표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각각의 지표는 경제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기 때문에, 단일 지표만으로 경제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다만, 가장 정합성 있는 기준을 제시하자면, 국내총생산(GDP)을 중심으로 다양한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경제가 좋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GDP 성장률이 높고, 실업률이 낮으며, 물가 상승률이 안정적이고, 환율이 적정 수준을 유지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반면 경제가 나쁘다는 것은 이러한 지표들이 모두 부정적인 신호를 보일 때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대표적인 주식 시장 지수인 코스피 지수를 얘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기업들의 실적과 투자 심리를 반영합니다.
코스피 지수가 상승하면 일반적으로 경기가 좋다고 판단하지만, 단기적인 변동성이 크기 대문에 장기적인 추세를 살펴봅니다.
또한 국민총생산이나, 고용, 물가, 환율 등 여러가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합니다.
경제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표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민총생산은 인플레이션 요소 배제가 어렵다보니 요새는 실업률, 고용율 , 소비자물가상승률 등을 중시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경제 지표 등을 얘기할 떄에
경제의 좋고 나쁜 것은 경제성장률과 더불어서
고용, 해고 등의 지표를 토대로 판단하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경제 지표를 이야기 할 때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GDP 성장률, 환율, 실업률, 물가 상승률 등을
이야기하고 이런 것을 종합해서 이야기 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 지표에서 경제가 좋고 나쁨을 말할때 가장 중요한게 경제 성장률이죠 그 다음이 물가상승률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할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2가지 경제지표가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입니다
올해 기준으로 보면 경제성장률 2.10~2.20%정도 이고 물가상승률은 2.30~2.40% 라고 생각하심 됩니다
참고로 내년 경제성장률은 2프로가 간당간당한 수준이 될거라는 예상이 지배적입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대표적인게 GDP동향을 보고 이야기 하는것입니다
가장 경제지포에서 국내총생산이 중요하고 이에 국내총생산이 분기별로 발표가 집계되고 이에대한 지표를 전년동기대비 비교해서보고 그리고 세부적으로 내수소비 투자부문의 고정과 재고투자 순수출 동향을 보고 파악하는것입니다
이외에도 매월 국내 소비지출 동향과 자영업자 폐업률수준 신규고용지표 비정규직비율등 이런 동향을 보고 현재의 내수진단을 내리고 순수출 동향을 파악하며 국내경기를 진단하고 내리는 기준으로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 지표를 바라보는 기준은 GDP의 변화를 기준으로 측정되는데요. 한 나라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측정한 지표인 GDP를 활용하는 것인데, 경제성장률 = {(금년도 실질 GDP - 전년도 실질 GDP) ÷ 전년도 실질 GDP} × 100. 2) 입니다.
굳이 우리나라 경제지표 관련해서 하나만 꼽으라면 경제성장률이 높 들립니다. 경제 성장률이 몇 %다 이게 그 나라 경제가 얼마나 발전하고 있는지 성장하고 있는지 한마디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다른것들도 꼽자면 지디피와 고용률 실업률 물가 상승률 정도가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의 경제 지표를 이야기할때 기준이 되는 주요 지표는 GDP, 물가상승률, 실업률, 경상수지, 금리 등이 될거 같습니다.
이러한 지표들을 통해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과 안정성 등 평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