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구조조정 이미지
구조조정고용·노동
구조조정 이미지
구조조정고용·노동
의로운청설모283
의로운청설모28323.03.11

직원의 성과를 올바르게 평가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인사관리가 회사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인것 같습니다.

직원의 성과를 올바르게 평가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올바른 평가를 하고 싶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일단 평가에 대한 객관적 기준을 제시하고

    사전에 평가기간 중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피평가자와 함께 논의해서 정하는 게 기본일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평가의 목적이 직원의 역량개발에 있는지 아니면 성과에 대한 보상에 있는지에 따라 평가의 방법(절대평가, 상대평가)을 달리해야 할 것이며, 평가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평가과정에 있어 직원들이 참여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인사평가 방법 중 상대적고과에는 직접적 서열법, 상호적 서열법, 짝비교법, 강제할당법이 있으며 절대적 고과에는 평정척도법, 체크리스트법, 목표관리법, 자기고과법, 주요사건기록법, 행위기준고과법, 행위관찰고과법, Human Assessment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서열법, 쌍대비교법, 강제할당법 등 상대평가는 자원의 효율적인 분배가 가능하고, 평가자의 중심화·관대화 경향 등의 문제가 낮습니다. 다만 경쟁을 부추겨 동료 간 협력을 저하시키고 조직문화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평정척도법, 체크리스트법, 중요사건기술법 등 절대평가제도는 평가기준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평가하기가 쉽고, 자기개발이나 교육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관대화 경향이나 자원의 배분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면평가는 상사ㆍ동료ㆍ부하ㆍ고객평가 등을 합산해 인사고과 점수를 산정하는 방식입니다. 인사고과에 대한 객관성을 높일 수 있고, 평과결과에 대한 반발의 소지를 줄일 수 있습니다. 다만 공정성과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정확한 사정은 모르겠지만 인사평가에 대한 부분은 모든 회사에서 고민을 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평가의 명암은

    분명히 존재하고 완벽한 평가 방식은 없을 겁니다. 회사마다 경영 환경이나 기업 문화가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글보다는

    인사평가 컨설팅 업체 등의 상담을 통해 현재 질문자님 기업에 맞는 인사평가제도를 찾아보셔야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