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2년안에 서울가기
2년안에 서울가기

단리 이자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이 방식은 무엇일까요

우리가 흔히 복리 이자라고 부르는 방식은 원금뿐만아니라 이자에도 다시 이자가 붙어 시간이 지날수록 불어나는 방식을 말하는데 단리 이자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이 방식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질문에 답이 써있는것 같은데 어떤것을 여쭤보신것인지 모르겠습니다.

    단리 - 정해진 기간에 1회만 이자가 붙음. 보통 연단위.

    복리 - 정해진 기간에 붙은 이자가 자동으로 재투자 됨.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단리 이자의 반대되는 개념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복리이자입니다.

    말씀대로 단리 이자의 연속으로 단리 이자로 생긴 이자까지

    그 다음 회기에 원금이 되어서 이자에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단리의 반대 개념은 복리라고 보면 됩니다. 단리는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구조라서 계산이 단순하죠. 근데 복리는 원금에 붙은 이자까지 다시 원금처럼 계산에 포함되니까 시간이 길어질수록 불어나는 속도가 훨씬 빨라집니다. 보기에 예금 상품 같은 데서 복리라고 강조하는 이유가 바로 이 차이 때문입니다. 현실적으로 보면 단기간에는 큰 차이가 안 나지만 장기 투자에서는 결과가 크게 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복리는 이자가 원금에 계속 쌓여가는 구조로 기간이 길어질수록 원금이 커지기 때문에 같은

      금리라도 점점 더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방식이 됩니다

    • 반대로 단리는 매달 이자를 따로 지급받기 때문에 원금에 쌓이지 않습니다

    • 즉 시간이 길어지더라도 이자가 높아지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단리 이자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이 방식은 바로 복리 이자입니다. 복리는 원금에 대해 붙은 이자를 다음 기간의 원금에 합산하여, 그 합상된 금액 전체에 대해 다시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는 '복리의 마법'이 발생하며, 장기 투자나 저축에서 유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복리이자방식은 원금뿐만 아니라 이자에게도 다시금 이자가 계상되는 방식입니다 단리방식은 최초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5%라는 연이율이라고 한다면 원금이 100만원일경우 단리방식은 매년 원금의 5%만 계상되어 5만원의 연이자가 동일하게 되는구조입니다.

    그러나 복리이자방식은 연이율방식이라고 한다면 100만원의 이자가 다음연도 추가되어 105만원이되고 그다음해에는 원금과 이자가 계상된 105만원에서 5%의 연이율이 계상되는 구조입니다. 이에 추가적으로 이자가 5원이 아니라 5.25원이 계상되는 구조가 복리이자방식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말씀하신 단리 이자는 말 그대로 원금에만 정해진 이자율로 이자가 붙는 것이고, 반대되는 개념인 복리는 원금에 이자가 붙은 금액에 다시 이자가 붙는 방식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는 투자 원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것은 이자에 이자가 붙는 방식으로 복리이자라고 보입니다. 이는 단리이자와 달리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자가 더욱더 커짐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율이 낮다고 하더라도 단리와 복리 중선택을 할 수 있다고 한다면, 그리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돈을 묵혀두려고 한다면 복리를 선택하시는 것이 보다 더 현명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이러한 것을 토대로 돈이 눈덩이 처럼 변한다 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복리는 쉽게말해 이자 기간 매달 리셋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가령 월 1%의 이자가 붙는 예금의 경우 100만원을 예치하면 한달이 지나 이자까지 101만원이 됩니다.

    다음달은 100만원 원금이 이자 계산 기준이 아니라 다시 리셋이 되어 101만원이 이자 기준이 됩니다.

    101만원의 1%가 다시 계산되어 10,100원이 이자가 생기는 것이지요.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단리와 반대되는 개념은 복리입니다.

    질문자님 말씀대로 복리는 이자에 이자가 붙기에

    이에 따라서 추후 엄청난 차이가 발생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원금에 이자까지 합친근액에서 이자가 다시계산되어 시간이 지나남에 따라 복리에 복리된다는 말처럼 많이 불어나는 방식인데 요즘은 이런식으로 주는곳이 거의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단리의 반대는 복리 이자로, 원금 뿐만 아니라 발생한 이자에도 다시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며 장기투자, 저축에서 유리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