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양병설은 왜 실현되지 않았나요?
안녕하세요? 임진왜란때 이이의 10만 양병설이 실현되었다면 우리나라는 결코 일본에 침략받지 않았을텐데요 왜 그렇게 하지 못했나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0만양병설에 대한 기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10만양병설은 실현되지 않았고 20만이 넘는 일본군은 조선을 침략해왔습니다.
1583년 어느 날, 국방을 책임지고 있던 이이가 왕을 찾았습니다.
나라가 오랫동안 태평하다 보니 군대와 식량이 모두 준비되어 있지 않아, 오랑캐가 변경을 소란하게만 하여도 온 나라가 술렁입니다. 지금대로라면 큰 적이 침범해 왔을 때 어떤 지혜로도 당해 낼 수 없을 것입니다.
- 《선조실록》
그는 이렇게 말하면서 국가는 항상 전쟁 준비를 갖춰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마침 북쪽에서 여진족과 크고 작은 전투가 있던 터이라, 이이의 주장은 제법 진지하게 검토되었습니다. 이이는 10만 군사를 길러 외적의 침략에 대비하자며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기도 하였습니다
얼마 뒤 일본에서 심상치 않은 소식이 전하였습니다. 120여 년간 분열되어 있던 일본이 통일되었고, 머지않아 조선을 침략할지도 모른다는 것이었습니다.
조정에서는 일본에 사신을 보내 이를 조사하도록 하였으나 두 사신의 의견이 달라 조정은 당황하지 않을 수 없었다.
황윤길은 일본의 침략 가능성이 높으니 서둘러 전쟁에 대비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김성일은 침략 가능성이 높지 않다며 이에 반대하였습니다. 토론은 큰 성과 없이 끝났고, 조정에서는 급한 대로 몇 가지만 준비한 채 한 해를 보냈습니다.
1년 뒤 조총을 비롯한 신무기로 무장한 일본군이 조선을 침략하였습니다.(1592 임진왜란) 20만이 넘는 대군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율곡 이이의 '10만양병설'은 붕당의 대결로 정책으로 반영되지 못했습니다. 율곡은 당시 서인으로 류성룡 등 동인의 반대에 몰렸습니다. 일본을 정탐하러 통신사 서인 황윤길과 동인 김일성의 대립도 드렇습니다.
또한 10만명의 대군을 양성할만큼 재정이 여유롭지 못했습니다. 만약 당시 농민을 징발하고, 대군 유지를 위해 세금을 징수하면 백성의 반발도 무시 못했을 것이라는 점이 반대 편의 주장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이의 십만 양병설은 당파 싸움에 밀려 결국 무산되고 말았는데 10만 명의 군사를 모집하고 군사력을 키우면 전쟁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될 것이고, 나라가 불안하고, 또한 다른 나라에 전쟁의 빌미를 제공 할 것이라는 그럴듯한 논리를 펴는 반대 세력에 밀려서 이율곡 선생의 10만 양병설은 결국 무산되게 된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0만 병력을 양성한다는 것은
국가의 엄청난 재정이 필요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도입하지 못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