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Youangel
Youangel

이율곡의 10만 양병설이 채택되지 않은이유?

안녕하세요? 조선시대 임진왜란 전에 이율곡의 10만 양병설이 제시가 됐는데 결국은 채택되지 않았거든요 왜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 배경을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수줍게웃는타킨108
    수줍게웃는타킨108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율곡의 주장은 서인과 유성룡의 동인 사이의 당쟁으로 인해 묻혀버렸습니다. 10만 명의 병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필요했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크다는 이유로 반대하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그리고 당시 일본은 내부 분열로 인해 전쟁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다는 판단이 있었습니다.결국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였고 조선은 초반에 큰 패배를 겪게 되었습니다. 이후 선조는 율곡의 10만 양병설을 떠올리며 후회했다는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0만 양병은 당시 조선 사회에서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규모의 군대였기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율곡 이이가 실제로 10만 양병설을 주장했냐는 것은 학계의 의견이 분분한 사항입니다

    관련 이야기는 서인이 집권한 후에 새로 쓰여진 역사서인 선조 수정실록에 처음 등장하고

    이것도 원래는 없다가 나중에 추가된 내용입니다

    이이의 십만양병설가 주장했다는 글은 이이의 제자인 김장생이 1597년에 쓴

    율곡행장이란 글이며

    임진왜란 이전에 이이가 10만양병설 같은걸 말했단 기록은 하나도 없습니다.

    그래서 서인들이 자기네 위인인 이이가 얼마나 굉장한지 알리려고 꾸며낸 일화란 주장이 있죠

    일단 이이가 군대를 늘리자고 주장한 적은 있는 것 같지만

    군인 10만명을 만들자는 것은 조선 군대를 약 10배로 부풀리란 것인데

    중국같은 큰 나라도 계획만 몇년동안 해야 가능한 일을

    세금도 크기도 작은 정부를 방침삼은 조선에서 시도하긴 힘들죠

    더군다나 조선은 이미 현실적인 수준의 군비 증강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니 10만명은 상식적으로 말도안되는 주장이었던 거죠

    일본에서 비상식적으로 군대를 많이 보내서 임진왜란초기에 밀린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이이가 옳은 것은 아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