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상냥한칼새41
상냥한칼새41

웨이트를 장시간 (2~3시간) 하면 유산소성 효과를 얻을 수 있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26
1. 웨이트와 유산소와 관련해서 자주 인용되던 연구로, 쥐 실험 연구를 찾아봤습니다.

중강도 / 인터벌 / 근력 중에서 중강도에서 해마크기가 제일 커졌다고 결론을 내리더군요. 운동이랑 해마크기는 BDNF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실험은 중강도 = 유산소 운동이 BDNF를 분비하여 해마에 긍정적이고, 반면에 웨이트는 분비를 하지 않기에 해마에 효과없다고 결론을 확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 연구에서 다른 뇌 부위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추정하기도 하더군요.


그런데 약간 의문점이, 연구에서도 첨언한게 중강도로 한 그룹 내에서도 운동시간에 따라 해마크기가 비례적으로 커졌다고 합니다. 또, 인터벌과 근력운동은 중강도보다 운동시간 자체가 짧은 듯 시사하는 듯 합니다. 즉, 실험군마다 운동시간이 다르다는 점에서 의문이 생깁니다.


이러한 점에서 저는 중강도 / 인터벌 / 근력 운동을 한 쥐 그룹의 운동시간이 제각기 다르다는 것에서 통제된 변인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웨이트고도 2~3시간 하면 유산소성 효과 나올거같다고 생각하고 그래서 BDNF 역시 나오고 해마도 커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웨이트를 장시간 하면 유산소성 효과가 나오며, 해마가 커질 가능성이 있을까요?



2. 유산소의 기준이 최대 심박수의 50~85%를 유지하는 심박수를 30분 이상 유지하는 운동이라고 보통 정의하는 것 같습니다.


여기서 운동 휴식시간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심박수 기준치 밑으로 떨어졌다가 다시 최대 심박수 50% 이상 올라가더라도, 유산소효과가 없다고 볼 수 있을까요? 혹, 효과는 있으나 그 수준이 현저히 낮은 것일까요?



3. 2번과 같은 질문일 수 있습니다. 무산소는 최대심박수의 85%이상, 유산소는 그 이하라고 정의됩니다.


무산소 운동을 하게 되면 휴식시간 중에 최대심박수가 85%이하를 떨어지면서, 약 2분정도는 유산소에 유사한 심박수를 유지합니다.


그렇다면 무산소 후 휴식시간 중에 유산소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심박수는 그 기준에 충족되나 추가적인 운동으로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기에 유산소가 되지 못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철희 의사입니다.

      웨이트 트레이닝과 유산소 효과에 대해 질문해 주셨는데요,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질문이 좀 길고 복잡한데^^;; 최대한 자세하게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1. 웨이트 트레이닝이 장시간(2~3시간) 지속될 경우 유산소성 효과와 해마 크기 증가에 미치는 영향:

      - 웨이트 트레이닝 자체는 대체로 무산소 운동에 가깝지만, 시간이 길어지면 그 영향이 유산소성으로 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BDNF 분비와 해마 크기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유산소 운동에 중점을 둔 것이라 완전히 같은 효과가 있을지는 불명확합니다. 다만, 웨이트 트레이닝이 뇌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른 연구 결과가 있으므로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긴 어렵습니다.

      2. 유산소의 기준과 심박수 변동:

      - 일시적으로 심박수가 기준치 아래로 떨어졌다가 다시 올라가도, 그것이 연속적으로 30분 이상 지속된다면 유산소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심박수가 일시적으로 떨어진다고 해서 유산소 효과가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3. 무산소 운동 후 휴식시간 중의 심박수와 유산소 효과:

      - 무산소 운동 후 휴식 시간 중에는 심박수가 떨어지므로 일종의 회복 운동이 이루어집니다. 이때 심박수가 유산소 운동의 범위에 들어간다면, 유산소성 효과를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무산소 운동과 같은 강도로 유산소 효과를 가져다주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웨이트 트레이닝이나 무산소 운동도 시간과 강도, 휴식 시간 등에 따라 유산소성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볼 수 있으나, 그 효과가 유산소 운동만큼 명확하거나 강하다고 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말씀드린 내용은 진료가 아닌 단순 의료상담으로, 정확한 확인을 위해서는 자세한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