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풋풋한물개287
풋풋한물개28723.06.12

밤에 동물 눈을 보면 빛이 나잖아요 왜 그런건가요?

밤에 동물 눈을 보면 빛이 나던데 사람눈은 전혀 그런게 없잖아요 동물 눈이랑 사람 눈이랑 차이가 있나요? 왜 동물 눈에서는빛이 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양이과 동물에게는 타페텀이라는 특수 반사판 있어 타페텀은 동공을 통해 망막을 통과한 빛을 반시시켜 망막으로 되돌려 보내는 역할을 해요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물의 눈이 밤에 빛나는 현상은 반사성 눈반사체와 빛을 투과시키는 막의 특별한 구조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어두운 환경에서 동물이 더 잘 보이도록 도와주며, 빛을 재반사하거나 반사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람의 눈은 동물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어 빛을 내지 않습니다. 동물의 눈이 빛나는 이유는 종류에 따라 다르며, 야간 사냥이나 소통에 도움을 주기 위한 적응적인 특성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물들, 특히 야행성의 동물들은 밤에도 앞을 잘 보고 사냥하기위해 주변빛을 받아들이고 반사하는 반사판을 눈 안에 가지고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물들의 눈 안에는, 특히 야생동물들의 눈 안에는 반사판이 달려있어 외부로부터 눈에 들어오는 빛을 일부 반사하게됩니다.

    이 방법은 밝기가낮은 밤에 잘 보이도록 만들어줍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일부 동물은 눈의 망막 뒷쪽에 반사성 층이라고 불리는 특별한 층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층은 빛을 받아들여 반사하고, 다시 망막으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빛이 산란되어 눈이 빛나는 효과를 만듭니다. 이러한 반사성 층은 주로 야간에 동물의 시야를 개선하기 위해 발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물 눈에서 나는 빛은, 빛이 눈의 후방에 있는 반사층으로 되돌아가서 반사되는 현상으로 인해 나타납니다. 이러한 반사층은 동물 눈에서는 빛을 효과적으로 수집하기 위해 존재하며, 각종 동물들의 눈에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존재합니다.

    반면, 인간 눈에는 반사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인간 눈에서는 빛이나 반사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러한 반사층이 없는 이유는, 인간이 다른 동물들과 달리, 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빛을 반사시키지 않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많은 야생 동물들이 대부분 유사한 현상을 보이는데요..특히, 고양이가 대표적이죠..

    밤길을 가다가 길고양이들을 한번씩 보면 깜짝 놀라기도 하는데..

    고양이 눈이 이렇게 번뜩이는 이유는..타페텀이라는 특수한 반사판 때문인데요.

    이것의 역할은 동공을 통해 망막을 통과한 빛을 반사시켜 망막으로 될돌려 보내는 역할을 한답니다.

    또한, 자외선에 민감한 능력과 함께 이러한 능력은 고양이가 어둠 속에서 잘 볼 수 있게 도와준답니다.

    다만,,,고양이는 색을 구별 할 수 없는데..이는, 상이 맺ㅎ는 망막의 시세포가 사람과 다르기 때문입니다.

    밤에 야행 동물의 눈이 번뜩거려도 너무 놀라지 마세요~~^^

    도움 되셨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