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수요일
수요일

부동산 시장이 버블이터지기 직전이라는말

부동산 시장시 버블이터지기 직전이라는말이 있던데

왜이런말들이 터져나오기 시작하는건가요? 집값 떨어지기 바라는 사람들의 희망사항인가요? 지금 현재상황은

어떻게 보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갑자기 서울과 수도권에 집값이 오르고 지방과 소도시들은 떨어지는 현상이 일어나서 더그런 전망을 하는거 같습니다

    서울은 공급이 부족해서 26년도부터 오를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이미 내다봤었는데 미리 올랐고 전세사기로 인해 더아파트를 선호하다보니 가격이 오름세로 나타났습니다

    지금은 대출한도규제를 하고 있어서 주춤하고 있는데 오늘부터 금리가 내려서 어떤 현상으로 나타날지 모르겠습니다

    더지켜봐야 할거 같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재철 공인중개사입니다.

    금리가 높아지고, 대출 규제와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나온 말이에요. 현재는 수요 공급 불균형과 정부 정책에 따라 시장이 혼조 상태인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듕산 시장은 심리적 영향을 많이 받게됩니다

    우리나라에 버즐 현상이 도래 한다면 모든 경제상태가 국가 부도 위기 상태가 온다는 의미인데 이직까지 금융시장도 건전하고 국민 부채가 규모가 약간 걱정이지만 버블 상태까지 도래될 염려는 없으리라 봅니다

    일부 호사가 들이 아파트 가격이 하락 하자 조급함으로 퍼뜨리는 낭설이라고 생각합니다

    부동선 가격 변동은 항시 있어온 사실 입니다

    너무

    염려하지 않으셔도 되리라 봅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2024년 현재 한국 부동산 시장은 전반적으로 고금리의 장기화, 정부의 부동산 규제, 대출규제로 부동산 침체기에 있습니다. 지난 상승이 많았던 거품이 꺼진 상태라고 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또한 양극화가 심화 되었고, 지방의 경우 미분양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수도권의 경우 공급부족 이슈와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바닥을 찍고 상승을 기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버블 보다는 조정시기라는 보합이라는 표현이 맞는 시기 인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부동산 가격 측면에서 보면 접근하기 어려운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버블이라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버블은 터지기 전까지 모릅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부동간 가격이 높지만 버블까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