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간 이빨의 수명은 어느정도인가요?
20대 중반의 남성입니다. 제가 몇달전에 사고로 앞니 3개내부에 금이가서 치과치료를 받았는데요 다행히도 심각하진 않아서 현재는 와이어 제거후 일상생활을 하고있습니다. 그래도 시간이 지나면서 나중에는 발치해야하는 시기가 올거같은데 보통 이런 경우 다친 치아의 수명은 어느정도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다친 치아에 대한 수명은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 아주 작은 외상이라도 사람에 따라 예후가 다르며 평생 특별히 부작용이나 수명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시간이 지난 이후에 해당 치아가 변색되고 치수가 괴사되어 신경치료를 하고 크라운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사람에 따라서는 치아가 유착되는 경우도 있으며 보통 3~6개월 단위로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실 아무도 알수가 없습니다. 어디까지 외상이 진행됫는지도 알수 없을뿐더러, 지금은 괜찮으시더라도 외상이 신경까지 영향을 미친경우 몇개월 뒤에 증상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다행이 치아가 흔들리지는 않으신거 같으니 앞으로는 앞니로는 절대 끊어 먹는 행동은 피해주시고 정기적으로 치과에 가셔서 검진을 받으시면서 관리하셔야될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효상 치과의사입니다.
수명은 개인차가 있어 확답을 드리긴 힘듭니다.
치아가 금이 가거나 깨지면 다시 붙지 않는 성질이 있습니다.
금이 가거나 깨진 치아의 증상은 찌릿하거나 무언가를 물었다가 떼었을때 아프다는 것입니다.
크라운을 씌우기전 증상에 따라서 신경치료를 하는 경우도 있고 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그후에도 증상이 계속적으로 발현되면
발치를 하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이간 치아의 수명은 정확하게 예측하기 힘듭니다.
치아에 난 금은 천천히 진행되는것이 아니라 어느 순간 갑자기 진행되기 때문이에요.
치아를 사용하는 힘이 강하다면 큼으로 인해서 치아가 깨질 확률이 더 높아지게 됩니다.
치아에 금이 있다면 치아를 매우 조심히 사용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과위생사입니다.
수명은 알수 없지만 주의해야 합니다.
평소 음식 섭취시 주의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딱딱하고 질긴음식은 치아파절, 치아균열, 치아마모, 턱관절 장애를 일으킬수 있습니다
얼음은 구강의 온도를 낮춰 치아에 손상을 줄수도있고 충격에 약해집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