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고급스런매사촌140
고급스런매사촌140

곶감 겉에 하랸색 가루들은 뭔가요?

곶감을 먹을 때 겉에 보면 하연 가루가 항상 뭍어있잖아요. 이건 뭔가요?

자연적으로 생긴건지 아님 제품을 만들 때 뭍힌건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남해안돌문어93
      남해안돌문어93

      안녕하세요. 남해안돌문어4917입니다.

      겉에 하얀 가루가 생기는 이유는 감이 건조되면서 수분이 증발하게 되고 감속에 있는 당분이

      외부로 빠져나와 이렇듯 보인다는 건데요. 따라서 흰가루가 많을수록 당도가 높아 맛있다는

      증거라네요.

      참고하자면 곶감 흰가루는 인체에 해가 없다고 하니 걱정했던 분들은 안심하고 드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수려한백로159입니다.

      곶감의 하얀 가루는 '과당'이라고 부르는 자연스럽게 생긴 당성분입니다. 곶감을 만드는 과정에서 감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감 속에 있던 설탕이 겉으로 나와서 결정화된 것이죠. 그래서 이러한 하얀 가루는 제품을 만들 때 인위적으로 뭍힌 것이 아니라 감을 말릴 때 자연스럽게 생긴 것이기 때문에 먹어도 문제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용한문어80입니다.

      곶감에 묻은 하얀 가루는 당분인데요.

      곶감이 만들어지면서 수분이 빠져나가 당분이 표면에 묻어 있는 것입니다.

      자연적으로 생긴 것이니 드셔도 괜찮습니다.

    • 안녕하세요. 늙은오리와함께춤을119입니다.

      곶감 위 하얀가루는 곰팡이가 아니라 시상이라는 감의 당분이 하얀색 가루로 보이는 것입니다.

      그 가루가 많다는 건 그만큼 당분이 높다는 뜻이니까 곶감 맛이 좋겠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행복한강성가이버입니다.

      다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하얀 가루의 정체는 곶감에서 배어난 ‘과당’이라는 당분이라고 합니다. 과당은 포도당과 함께 과일 속에 들어있거나 포도당과 결합하는 당분을 말합니다. 과당은 주로 과일, 과즙 등에 들어있는데요. 단맛의 대표 격인 벌꿀의 약 40%가 과당입니다. 천연 당류 중에서는 가장 달다고 합니다.

      출처 : 이웃집과학자

      http://www.astronomer.rocks/news/articleView.html?idxno=83509

    • 안녕하세요. 대담한파랑새117입니다.

      곶감을 건조하게 되면 건조하는 과정에서 감 속의 당분이 밖으로 나오게 되는데

      그 당분들이 곶감의 겉에서 막을 형성하며 하얀 가루로 바뀌게 됩니다

      따라서 하얀가루는 당분이므로 안심하시고 드셔도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