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의 자료에 의하면 2024년 12월말 현재, 전국의 미분양아파트가 7만가구가 넘었다는데요. 그중 20%는 수도권이라는데요.
국토교통부의 자료에 의하면 2024년 12월말 현재, 전국의 미분양아파트가 7만가구가 넘었다는데요. 그중 20%는 수도권이라는데요. 미분양의 근본적 원인은 무엇인가요? 아파트가 부실한가요? 가격이 턱없이 비싼가요? 아니면 집이 필요한 사람들이 그렇게 많지 않아서 인가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미분양이 발생하는 이유는 일단 청약자가 없다는 의미이고, 이는 해당 청약의 인기가 낮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인기가 낮아지는 이유에는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일단 주변시세와 분양가사이 차익이 없거나 오히려 분양가가 높아 메리트가 없다는 판단이 들거나, 해당지역 또는 청약단지내 입지가 부실하고 향후 가치상승이 제한될거라는 판딘이 많을때 발생할수 있습니다. 특히 지역에 따른 과잉공급에 따른 영향(대표지역 대구)과 수도권처럼 공급부족 지역에 미분양이라면 생활권의 중심이 되는 서울과의 접근성이 기대보다 떨어지는 경우등이 대표적인 주요 요인으로 볼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미분양은 단순히 일부 부동산의 문제로 그치지 않으며 경제 전반에 걸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건설사들이 대부분 브릿지론에서 PF대출로 이어지는 돈을 빌려서 추진하는 건설을 하고 있기 때문에 미분양이 되면 건설사가 심각한 타격을 받습니다. 따라서 어떻게든 대금회수를 하기위해 여러가지 인센티브를 주기도 하고 최종적으로 할인을 하기도 하여 제값을 주고산 입주민들과 소송으로 이어지는 마찰을 빚기도 합니다. 이렇게 된데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근본적으로 부동산 경기가 좋을 때 사업성을 제대로 검토하지 않고 무리하게 사업을 벌인데 기인한 것입니다. 집이 필요한 사람이야 많이 있지만 실제로 구입할 수 있는 사람들은 지역적으로 한정이 되어 있는데 이러한 것을 제대로 조사하지 않고 분양을 하다보니 미분양이 나타난 것입니다. 부동산은 특성상 위치를 이동할 수 없으므로 다른 곳에 가서 파는 것이 불가능하다보니 더욱 더 문제 해결이 쉽지 않습니다. 부동산은 장기간을 보고하는 투자이기에 현재 조건도 중요하지만 향후 발전 가능성이나 유지관리와 매각조건 등 여러가지를 검토하여 투자가 필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미분양은 주택 공급이 많거나 수요가 부족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분양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특히 수요부족, 과잉공급, 가격문제, 금리인상 등의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가장 큰 이유는 입지의 문제가 큽니다.
교통이 불편한 하고, 기본적인 인프라가 부족하다면 미분양이 나타날 확률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교통,학군,인프라가 좋지 않은 지역들이 아무래도 미분양이 나는거 같습니다
분양을 받아서 조금이라도 이익을 보고 매도를 하려고 했던 분들이 지역이 좋지 않아서 참여를 안하는 경우가 많고 분양가가 높아서 분양이 됐다해도 포기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도권의 지역이 좋은지역이라면 미분양이 많지는 않을것으로 보는데 안좋은지역들이 났다고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