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비장한삵137
비장한삵13722.11.26

우리나라 내수시장은 큰편인가요?

5천만명 이상 사는 우리나라도 어쩌면 엄청 큰 내수시장처럼 느껴지는데 밥한숟을 뜨더라도 3석끼면 1.5억번인거니 엄청 큰 시장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7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의 내수시장 규모는 1조 1,102억 달러로 세계 12위에 해당됩니다.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 대비 국민처분가능소득 비율은 OECD 회원국의 평균에 비해 크게 떨어졌습니다. 같은 기간에 OECD평균 소비성향(최종소비지출/국민처분가능소득)은 상승했지만, 우리나라는 하락했습니다. 앞으로 인구 고령화에 따른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뚜렷해지면 경제선순환을 이루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내수시장이 큰 편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내수시장이 활성화 되려면 최소 1억명 이상의 인구수가 있어야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는 등 하므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돈석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인구는 5천만 명이지만 아이나 노인 등 실제 소비 여력이 없는 사람들을
    제외하고 보면 그렇게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수출이 중요한 국가가 된 것이고요.

    상대적으로 중국을 보면 땅도 넓지만 인구가 워낙 많다 보니 실제 소비
    여력이 없는 사람들을 제외하더라도 내수 시장이 엄청 큰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 세계의 내수시장 규모를 순서대로 세우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미국

    2. 중국

    3. 일본

    4. 독일

    5. 영국

    6. 인도

    7. 프랑스

    8. 이탈리아

    9. 캐나다

    10. 브라질

    11. 러시아

    12. 멕시코

    13. 한국

    우리나라의 경우 13위의 내수시장 규모 크기를 가지고 있어 순위로만 보면 작은 규모의 내수시장을 가지고 있다고 보기는 힘들겠지만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의 GDP대비 내수시장 규모는 64%에 불과합니다. 우리나라의 인구대비 그래도 내수시장의 규모가 크다고 볼 수 있는데요.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들의 성장속도에 비해서 내수시장의 규모는 더이상 확장되어 나가기 힘들며, 이 내수시장 규모 확장을 위해서는 2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첫번째는 인구, 두번째는 소득수준입니다. 과거 문재인 정부는 두번째인 소득수준을 높여서 내수시장을 확장시키려 하였으나 실패했었습니다. 게다가 출산율이 점차 하락하고 있어서 우리나라의 내수시장 규모는 향후에 더 축소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내수시장은 주요 선진국 대비해서는 작은 편입니다. 특히 내수시장은 인구와 소득수준이 중요한데 우리나라의 경우 5천만명 수준의 인구와 노령인구의 소득 수준을 감안할 때 내수시장이 크다고 볼수는 없습니다. 대표적으로 시장이 크다고 생각되는 나라는 중국, EU, 미국, 일본 정도의 수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