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이로동
이로동23.11.11

중국은 공산주의인데 왜 부자와 가난한 사람이 나뉘나요?

모두가 잘살자의 이념에 기반되어 모두 같은 임금을 받는게 공산주의라고 알고있었는데 중국은 공산주의임에도 부의 격차가 심하더라고요 왜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중국은 완벽한 공산주의는 아닙니다

    • 공산당을 기반으로 경제는 자유경제를 일부 채택하였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성장을 이루어 낼 수 있었습니다.

    • 과거 중국의 덩샤오핑은 흑묘백묘론을 펼치면서 이것저것 따지지 말고 결국 경제만 성장하면

      된다는 논리로 공산주의에 자본주의를 일부 더한 국가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세계 공산국가들의 권력자들에게 벌어지는 현상입니다. 어찌보면 공산주의 사회주의란 이념자체가 인간의 본성을 배제했다고 볼수 있는 허황된 이념이기 때문일수도 있지요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래 옛날에도 공산주의 국가라도 요즘 북한처럼 다수의 국민들은 대체적으로 평등하게 빈곤하고 절대권력자와 그 주변 핵심관계자들은 엄청나게 부유한거죠!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공산주의를 표방하긴 하지만 완전한 평등이라는 것은 사실상 북한, 중국 등 사회주의 국가에서도 있을 수가 없으므로 오히려 인간 본성을 부정한 불안정한 체제로 인해 빈부격차가 더욱 극심해 질 수밖에 없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은 정치에 있어서는 사회주의를 채택하고 있지만, 경제에서는 시장경제체제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학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은 정치는 사회주의 형태이고 경제는 자본주의를 개방해서 운영하기 때문에 부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산 주의 국가에서는 자본 주의 보다 사실 더 빈부의 격차가 심합니다. 중국 뿐 아니라 북한 등에서도 마찬 가지인데 이것은 공산 주의가 자본 주의 사회에 비해서 더 많은 부정 부패가 심하기 때문 입니다. 국가가 시장에 관여 하는 것도 그러한 이유중의 하나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산주의라고 하더라도 이 이념을 만든 사람은 결국 해당 제도를 이용해서 부를 착취하게 되면서 부자와 가난한 이가 나누어지게 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과 같은 경우 체제적으로는 공산주의이지만

    이러한 경제활동에서는 자본주의를 추구하는 등 하기 때문에

    빈부격차가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