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귀여운팬더곰238
귀여운팬더곰238

사람의 신체는 꼭 잠을 자야만 하는 건가요?

항상 졸립고 피곤한 몸으로 출근하는데 사람의 몸은 꼭 수면이라는 것을 취해야만 되는 것인가요? 실제 수면이라는 것을 아예하지 않는 동물도 존재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뇌에는 인체에서 가장많은 사소를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물질대사로 인한 에너지 생성과정에서 노폐물과 독소가 많이 생성된다고합니다. 이런 독소와 노폐물이 해독되는 과정이 바로 수면을 하면서 발생되는 멜라토닌과 세로토닌에 의해서 진행되는데요. 이것이 수면을 발생되는 호르몬이기때문에 수면을 통해서 해독이 가능한 것입니다. 또한 동물중에는 잠을 자지 않는 동물이 있는데요. 예를 들면 상어 부레가 없어서 호흡을 하지 않으면 죽을수 있어서 끊임없이 움직여야한다고 합니다. 또한 황소개구리도 잠을 자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다만 잠을 자지는 않지만 휴식은 취한다고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동물은 수면을 취하며, 수면은 생존과 원활한 신체 기능에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모든 동물이 수면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 동물은 수면 대신 다른 휴식 방식을 채택하거나 수면을 짧게 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일부 해양 동물인 돌고래와 물개는 수면을 취하지 않고도 잠깐씩 한눈을 팔 수 있는 "반뇌수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동물들은 반뇌수면에서도 몇 분에서 몇 시간 동안 휴식을 취하며, 뇌의 휴식과 신체의 회복을 위한 시간을 확보합니다.

      또한, 일부 동물은 일상적인 수면 패턴과는 다른 특이한 수면 패턴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새들은 양각수면(bihemispheric sleep)이라고 불리는 수면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두 개의 뇌 반구 중 한쪽이 수면 상태에 돌입하고 나머지 한 쪽이 깨어있는 상태를 유지합니다. 이렇게 하면 새가 휴식을 취하면서도 주의를 기울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과 많은 동물들은 정기적이고 충분한 수면을 취해야 합니다. 수면은 신체의 회복과 재생, 학습과 기억의 정리, 면역력 강화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속적인 수면 부족은 건강과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졸음, 피로, 집중력 저하, 기분 변화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의 신체는 꼭 수면을 취해야 합니다. 수면은 우리의 신체와 정신적인 재생과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면은 신경체계의 조절, 호르몬 분비, 면역기능 강화 등 여러 가지 생리적인 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건강과 웰빙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인간 신체는 최소한의 수면이 필요합니다. 수면은 신체와 정신의 복구를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면 중에는 대사활동, 호흡, 혈액순환 등 신체의 여러 기능들이 조절되며, 뇌에서는 기억력 정리, 학습, 감정 조절 등의 중요한 기능들이 수행됩니다.

      수면 부족은 다양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짧은 시간 동안 수면 부족이 계속되면, 신체적으로는 피로, 두통, 심장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정신적으로는 우울증, 불안증, 인지기능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수면은 인간과 동물 모두에게 필수적인 생리적 요소 중 하나입니다. 수면은 몸의 회복과 재생, 신경계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모든 동물이 수면을 꼭 취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어떤 종류의 물고기나 뱀은 수면을 취하지 않고도 일상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눈을 감지 않고도 휴식을 취할 수 있거나, 양쪽 뇌 반구를 번갈아가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동물들은 수면을 필요로 하며, 수면의 양과 질이 동물의 건강과 생존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쥐와 새는 매우 짧은 수면 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에 인간과 일부 원숭이는 수면 주기가 길고 깊은 수면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동물의 종류와 생활 환경에 따라 수면의 패턴과 양은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학자들간의 의견이 다릅니다.

      대부분의 어떠한 방식으로든 수면을 취하는데요, 수면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동물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돌고래와 고래는 뇌가 반씩 교대로 잠을 잡고 렘 수면을 하지 않습니다. 또한 황소개구리가 잠을 전혀 자지 않는 대신 휴식을 취한다고 하기도 하며, 일부 초파리 역시 수면을 전혀 하지 않아도 수면 부족에 시달리지 않기 때문에 수면을 하지 않을 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몸은 잠을 통해 시냅스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다음 날 기억을 받아들일 준비를 한다. 또한, 수면은 뇌의 노폐물과 독소 배출과 관련이 있다. 우리가 깨어 있을 때 증가한 뇌 속 독소와 노폐물은 잠을 잘 때 빠르게 배출된다

      잠을 안자면 피곤하며 정신이 몽롱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잠은 꼭 자야 합니다 잠을 자면 신체는 성장 호르몬을 분비하여 세포를 재생하고 손상된 조직을 복구합니다 또한 잠을 자면 면역 체계가 강화되고 뇌 기능이 향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잠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뇌의 활동을 회복시켜 주는 것입니다.

      잠을 자는 동안에도 우리의 뇌는 끊임없이 무언가를 하고 있는데요.

      뇌는 우리가 깨어 있는 동안 입력된 정보를 정리하여 지워 버릴 정보와 기억할 정보를 분류해서 기억 저장소에 집어넣는 답니다. 또한 잠을 자는 동안 우리의 몸은 백혈구의 활동을 활발하게 해서 부족한 면역 물질을 만들어 내고, 몸 안에 쌓인 피로 물질을 분해하며 깨어나서 쓸 영양분을 준비합니다.

      과도한 산소와 에너지를 소비하는 머리를 쉬게 하여 신체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보충하는 것이죠.

      잠은 심장 박동을 늦추고 근육을 이완하며 호흡수를 줄여 최대한 잘 쉴 수 있도록 하며, 뇌는 다음 날을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몸은 에너지를 재충전하는 것이랍니다.

      잠을 안자는 생물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유는 뇌의 휴식.뇌세포의 휴식.인체의 휴식.정신적 휴식 .면역력.치유력.등등 종합적인 이유로 예상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뇌도 많이, 오랜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하게되면 피로감이나 긴장 상태가 유지되어 생명체의 진화나 성장에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만들기 때문에 잠을 자야 한다고 합니다.

      이는..수면 중에는 성장 촉진 호르몬이 분비되는 생명유지에 필요한 작용이 필어나며, 누적된 피로도 해소해줘야 되구요

      또한, 수면 중인 뇌를 관찰해보면 오히려 활발한 뇌 활동이 나타나는데..이는 사람의 의지가 아니라 일종의 뇌늬 재정비라는 얘기가

      있습니다.

      다양한 정보와 기억해야할 것, 버릴것 등의 생리학적인 스스로의 생각을 처리하는 과정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이렇듯...수면은 인간의 성장,발육,건강등과 직결되어 있다고 학계에서는 전하고 있습니다.

      도움 되셨기를...^^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은 잠을자는동안 뇌와 신체에 남아있는 노폐물들이나 기타 대사산물들을 청소하는 시간을 가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