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 혼잡률 개선을 위한 무역 물류 시스템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최근 항만 혼잡으로 인해 선박 접안 지연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무역 실무에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디지털 물류 시스템이나 사전 예약 플랫폼에는 어떤 것이 활용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최근 항만 혼잡으로 인한 선박 접안 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디지털 물류 시스템과 사전 예약 플랫폼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산항은 차량반출입예약시스템(Vehicle Booking System, VBS)을 시범 운영 중입니다. VBS는 항만 내 컨테이너 반출입을 미리 예약하는 시스템으로, 이를 통해 터미널 운영사의 컨테이너 사전 반출입 예약정보 신뢰도를 높이고, 반출입 물류 프로세스의 효율화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해운기업인 HMM은 온라인 예약 플랫폼 'Hi Quote'를 론칭하여 선박 스케줄, 출발/도착지, 화물 종류, 컨테이너 수량 등을 직접 선택해 견적 및 선복을 예약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일정에 따라 서비스를 선택하고, 실시간으로 운임 견적을 받아 예약을 확정할 수 있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항만 혼잡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디지털 물류 시스템과 사전 예약 플랫폼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산항만공사는 화물차 기사 전용 모바일 앱인 '올컨E'를 도입하여 컨테이너 인수도증의 전자화와 터미널 내 작업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화물차 기사들은 차량에서 내리지 않고도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안전사고 위험이 감소하고, 종이 인수도증 발급에 따른 비용과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부산항만공사는 차량반출입예약시스템(vbs)과 환적운송시스템(tss) 등 항만물류통합플랫폼을 개발하여 터미널 도착 시간을 사전에 예약하고, 환적 화물의 효율적인 운송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터미널 운영 효율성과 운송사의 배차 효율이 향상되고, 운송기사들의 대기시간이 줄어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싱가포르에서는 공급망 디지털화를 위한 공통 데이터 인프라인 'sgtRAdEX'를 개발하여 제조 현장, 창고 및 항구 간의 컨테이너와 화물 이동에 대한 가시성을 향상시키고, 운송업자 간의 화물 이동을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항만 혼잡률 개선을 위해 다양한 디지털 물류 시스템과 사전 예약 플랫폼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최적 항만 게이트 시스템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이 개발되어 트럭 대기 시간을 크게 줄이고 있습니다. 이 모델을 통해 게이트의 트럭 진출입 처리 시간에 따른 대기 발생을 예측하고, 다양한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여 최적의 게이트 시스템 운영 기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선박 도착 지연에 대응하기 위해 빅데이터 기반의 선석 계획 방법론도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는 선박 도착 시간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선석 및 안벽크레인의 운영 계획을 재수립하는 것으로, 필요시 다른 터미널로의 전배를 통해 비용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포함합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물류 시스템도 항만 물류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항만 혼잡률 개선을 위한 방안은 차량 반출입 예약시스템이 원활이 작동되면 조금 더 원활히 물류작업이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IoT 나 빅데이터 분석, 스마트 항만 시스템의 도입을 통해 항만 혼잡률을 개선할 수 있지만 초기비용 등을 고려해 실제 스마트 항만 도입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항만 혼잡과 선박 접안 지연을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물류 시스템과 사전 예약 플랫폼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습니다. 실시간 화물 추적이 가능한 트래킹 시스템과 AI 기반 예측 분석 도구를 활용하면 선박 일정과 하역 작업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 터미널 예약 시스템을 통해 컨테이너 반출입 시간을 조정하면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문서 시스템을 활용하면 통관 절차를 간소화해 전반적인 물류 흐름을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