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율이 같을 때 예금과 적금의 차이?
세제혜택이 없고 이율이 같을때
예금과 적금은 인출자유를 제외하면 완전히 같은가요?
지금 토스뱅크가 자유입출금 2%인데
보통은행들 적금이 2%라
이율이 같은데 왜 적금넣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단순히 나도제어하지 못하는 출금 유혹때문인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공인중개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부분은 예적금의 차이에 대한 부분으로 이해됩니다
만약 모든 조건이 같다면 예금이 입출금 자유로운 특성상
자유롭지 못한 적금보다 우수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예금은 자신이 모아둔 돈을 한 번에 은행에 납입하고 만기가 된 날에 이자수익을 얻는 방법을 말합니다.
- 적금은 일정 기간동안 일정한 금액을 납입하여 기간이 만료되면 납입한 금액과 일정 기간의 이자를 돌려받는 것을 말합니다.
- 가장 금리가 높은 예적금은 금융감독원이 운영하는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fine.fss.or.kr) 내 ‘금융상품 한눈에’ 코너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월 저축금과 저축기간, 적립방식, 지역, 이자계산 방식 등을 선택하면 금리가 높은 순으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대개 시중은행보다 저축은행 금리가 높고, 온라인 전용상품이 이자가 높습니다.
- 목돈을 마련할려면 적금부터 시작해 시드머니를 모으는 것이 맞고, 최소 몇백만원 이상의 종잣돈을 모은 직장인이라면 3개월 치 생활비를 비상금으로 떼어두고 나머지는 정기예금에 예치하는 게 금리 측면에서 났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같은 금리일 땐 적금보다 예금이 훨씬 유리합니다. 적금은 세후 22만원, 예금은 세후 25만원의 이자를 받습니다. 금리가 4%로 같다면 적금은 세후 22만원, 예금은 무려 세후 40만6,080원이다. 일단 적금은 단리로 이자를 지급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화식 보험/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2%라고 가정했을때 입출금이2%고 예금이2%라면
똑같이 이자에대한 15.4%의 세금을 제외한다면 만기 수령금액이 같습니다.
예금은 중도해지하면 중도해지금리를 받지만
입출금2%는 예치일수에 2%적용이므로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금은 목돈을 예치하는것이고 적금은 목돈을 만들기 위해서 월별 얼마씩 적립을 하는것입니다.,
사실 금리의 차이를 떠나서 보통 예,적금을 하는이유는 주식등 투자에는 리스크가 크고해서 안전한 투자방식을 선택한것이며 보통 적금이나 예금을 하면서 목표등 인출하지 않을려는 계획이 더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