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유아 교육 콘텐츠의 적정 사용 시간과 효과적인 활용 방법은 무엇인가요?
디지털 기기는 유아 교육에서도 점차 사용되고 있지만, 과도한 사용이 문제될 수 있을 것 같아요. 적절히 사용하면서 교육 효과를 높이는 방법에 대해 고민이라 어떤 방법이 있을까 궁금해요.
디지털기기에 오랜 시간 노출되다 보면 뇌발달, 눈건강, 일상생활,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전문가에 따르면 연령별로 하루 디지털기기 적정 사용시간은
만3~5세: 30분~1시간/1일이라고 합니다.
양육자가 관리해주지 않고 내버려두면
아이들은 자기조절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과의존에 빠지기 쉽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디지털 기기를 활용해서 다양한 시각적 자료를 제공해 주면서 아이의 이해를 도와주는 것에 대한 효과는 좋으나
다만 장시간 디지털 기기 활용은 아이의 눈 시력 저하는 물론 이거니와 아이의 뇌.인지발달 및 성격변화 형성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시간을 정하여 사용하게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예를 들면 학습을 하면서 모르는 부분이 생긴다면 디지털 기기를 통해서 알아보는데 그 시간의 활용은 30분 ~ 1시간 정도가 적당할 것 같습니다.
아이에게 시간을 정해두고 디지털 기기를 왜 사용해야 하는지 이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잘 알려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어느정도 사용에 있어서 잘관리만하면 좋을수있으며 디지털 기기를 쓸때 필요한것을 중점적으로 하도록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유아의 연령대와 발달 수준에 맞는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다 적절한 학습을 유도하고 상상력이나 창의력,언어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교육용 게임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서 색깔,숫자,알파벳 등 기초적인 개념을 배우는 콘텐츠나 이야기를 들려주는 앱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디지털 기기를 사용할 때 부모나 교사의 참여는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는 자녀가 기기를 사용할 때 옆에서 지도하고 콘텐츠에 대해 이야기하며 함께 학습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단순히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배우는 내용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디지털 기기 사용 후에는 오프라인 활동을 함께 진행합니다. 디지털 스토리텔링 후에는 이야기에 나오는 그림 그리기나 역할 놀이를 합니다. 자연 관찰, 실험, 만들기 등의 다양한 활동과 병행하여 경험을 풍부하게 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유아의 발달 단계에 맞는 교육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콘텐츠를 선택합니다. 게임이나 애니메이션보다 교육적인 앱, 동엿아, 스토리텔링 등이 좋습니다. 콘텐츠는 언어, 수학, 과학 등의 기초적인 학습을 유도한느 방향으로 선택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적절하게필요할때만디지털을이용해서 사용해주시면도움이될수있으니
참고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유아 교육에 디지털 기기는 하루 30분에서 1시간이 적당합니다. 교육적 콘텐츠를 선택하고, 부모와 함께 활동하며 소통을 강화하세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유아교육 콘텐츠 적정사용시간은 하루에 30분에서 1시간 사이가 적합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아 교육에서는 디지털 기기 활용을 제한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최소한의 시간을 활용하되, 가능한 EBS 키즈처럼 건전하고 신뢰도가 높은 채널,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중독이나 과몰입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활용 이유를 명확히 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