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경건한개미새67
경건한개미새67

물때가 생기는 것은 어떤 과학적인 이유일까요?

물은 말 그대로 투명하고 깨끗하게 보여지는데요, 물이 많이 사용되는 욕실이나 세면대, 싱크대 등의 장소나 물컵이나 포트 등 물이 자주 고여 있는 물건들에는 미끌거리거나 색깔을 띄는 물때가 종종 발생해서 청소나 세척에 애를 먹을때가 있습니다. 그 물때는 어떤 성분이고 왜 발생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물때는 주로 물속에 포함된 미네랄 성분과 세균, 곰팡이, 비누 찌꺼기 등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입니다. 특히 석회질이 많은 경수 지역에서는 칼슘이나 마그네슘이 물이 증발한 후에도 남아 흰색이나 누런 찌꺼기를 만들고, 습한 환경에서는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하며 미끄럽고 냄새나는 물때로 발전하게 됩니다.

  • 물때는 주로 무기물의 침전이나 물 속 미생물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물에는 칼슘이나 마그네슘, 철, 망간 등 다양한 무기물 이온들이 녹아 있습니다. 이러한 이온들은 물이 증발하면서 농축되거나, 온도 변화, pH 변화 등의 환경 변화에 따라 물에 잘 녹지 않는 화합물로 변하여 침전되며 물때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또한 물속에는 먼지니 음식물 찌꺼기, 피부 각질 등 미량의 유기물과 세균, 곰팡이, 조류 등의 미생물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유기물은 미생물의 영양분이 되고, 미생물은 번식하면서 끈적끈적한 바이오필름이라는 막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 결과물이 모여 물 때의 형태를 띄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하얗고 딱딱한 석회질 물때는 물 속에 녹아 있는 칼슘, 마그네슘 같은 광물질 때문에 생깁니다. 비누찌거기나 유기물 물때는 미끄럽고 변색된 상태인데 이는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해서 생깁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