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한계선은 주로 어떤 환경적 문제들로 만들어지는 것인가요?
나무가 자랄 수 있는 경계선이라는 것이 존재하고 그걸 수목한계선이라고 하던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딱히 수목한계선이라는 것이 없는 것 같습니다
이런 수목한계선은 주로 어떤 환경에서 나타나는 것인가요?
예를들어서 어떤 곳이 대표적인 곳인지
그리고 하나의 구역안에서도 수목한계선이 나눠질 수도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수목한계선이란 나무가 살아갈 수 있는 환경적인 한계를 나타내는 선입니다.
우리나라처럼 사계절이 비교적 뚜렷(최근에는 그렇지 않다고 할 수 있지만.. ㅠㅠ)하고 비교적 온화한 기후에서는 수목한계선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을 수 있지만, 극지방이나 고산지대처럼 기온이 낮거나 건조한 지역에서는 매우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수목한계선이 나타나는 환경은 앞서 말씀드린대로 고산지대나 건조지역 등입니다.
고산지대의 경우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고 바람이 강해져 나무가 살아가기 어려운 환경이 됩니다. 히말라야 산맥, 안데스 산맥 등이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극지방은 낮은 기온과 짧은 생장기로 인해 나무가 살아가기 어려운데, 북극해 주변, 남극 대륙 주변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건조지대는 강수량이 매우 적어 토양이 건조하고 습도가 낮아 나무가 자라기 어렵습니다. 사하라 사막, 고비 사막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수목한계선의 특징이라면 고도 및 기후, 지형에 따른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수목한계선은 낮아지며 극지방으로 갈수록 수목한계선도 낮아지지만, 지구 온난화 등 기후 변화에 따라 수목한계선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물론 산의 경사, 토양의 종류, 바람의 세기 등 지형적인 요인에 따라 수목한계선이 달라질 수도 있죠.
그리고 하나의 구역 안에서 수목한계선이 나눠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앞서도 이미 특징으로 한번 말씀을 드린 부분이긴 합니다.
같은 지역이라도 음지와 양지, 바람이 덜 부는 곳과 많이 부는 곳 등 미기후에 따라 수목한계선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토양의 종류, 깊이, 수분 함량 등에 따라 나무의 생장이 달라지므로 수목한계선에 영향을 미칩니다.
1명 평가수목한계선은 주로 기온, 토양, 강수량, 바람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주로 고산지대나 극지방에서 볼 수 있는데, 이 지역들은 기온이 낮고 생육 기간이 짧아 나무가 자랄 수 없는 조건을 만듭니다. 대표적으로 히말라야, 알프스 산맥, 북극과 남극의 툰드라 지역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백두산과 같은 고산지대에 수목한계선이 나타나지만, 일반적인 지형에서는 고도가 높지 않아 눈에 띄지 않습니다. 하나의 구역 내에서도 지형, 방향에 따라 수목한계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