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플리한라이트머스
플리한라이트머스

점점 짜증이 늘어가는 7살 아이는 어떻게 키우는게 정답일까요?

7살 유치원 다니는 딸을 키우고 있습니다.

아이가 언제부터인지 짜증이 많아지고

화도 많아지고 자기하고 싶은 대로만 하려고

자꾸 떼를 씁니다..ㅠ

좋게좋게 타일러 봐도 그때뿐이고

같은 일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있습니다. 애 키우기 참 힘드네요..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7세 아이가 짜증이 늘어나니 걱정이 되겟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00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하게 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이러한 환경 속에서 자라난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성장을 하면서 점점 자아가 확고해집니다. 이로써 자기가 하고싶은게 많이 생길텐데 이게 옳은지 그른지를 모르기 때문에 부모님께서 훈육을 많이 하실겁니다. 남에게 피해가 가는 행동이나 위험한 행동의 경우에는 중간에서 제재를 하실텐데 이때 자기가 하고싶은것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짜증을 많이 낸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를 들어줘서는 안되고 위험하거나 하지 말아야 되는 행동에 대해서는 꼭 훈육을 해주셔서 바른 아이로 성장하도록 해주셔야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언어로 자신의 의사표현이 가능한 나이 인데로 불구하고 화를 내고 짜증을 내는 행동은 옳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가 짜증을 내거나, 자기 마음대로 하려고 하거나, 떼를 부린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짜증을 내고, 자기 마음대로 하려하고 떼를 부리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짜증을 내거나 자기 마음대로 하거나 떼를 부리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정확하게 해주세요.

    더나아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싶다면 부드럽고 예쁘게 조곤조곤 언어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해야 함을 인지시켜 주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7세 아이의 짜증내는 것과 떼쓰기는 발달 과정의 일부일 수 있으니 부모님이 먼저 그 사실을 인정하고 편하게 수용하는 마음을 가지셔야 합니다. 그 발달 과정을 잘 넘기시려면 규칙을 명확히 하고 일관되게 적용하시는 훈련을 하시는 겁니다. 그리고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가르쳐줍니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하여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미숙하기 때문에 감정적으로 짜증의 형태로 나옵니다. 그것을 언어로 표현하는 방법을 케이스마다 일관되게 가르쳐주신다면 아이는 짜증대신 언어로 표현하면서 성장되어 있는 모습을 발견하실겁니다. 아이가 지혜롭게 성장하길 응원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짜증을 많이 내는 아이들은 마음속에 먼가 채워지지않고 불만이 있을수있으니 부모님께서 아이와 깊은대화를 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성장하면서 자아가 생기기 시작하기 때문에 뜻대로 되지 않을때는 고집을 부리기도 하고 짜쯩이나 화를 부리기도 하고 떼를 쓰기도 합니다. 이는 성장과정에서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아이가 짜증이나 화를 많이 낼때는 왜그러는지 원인을 파악하시는 것이 중요하며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는 것이 필요하며 짜증을 부리지 않고 감정을 말로 표현할수 있도록 아이의 눈높이에서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따님께서 현재 한단계 더 성숙해져가는 과정에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아이들은 보통 점차 성장에 갈수록 자신에게 주관과 가치관이 뚜렷해지는데요. 그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다만 짜증이 날 수는 있으나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올바른 방법을 알려주셔야 합니다. 짜증을 낸다고 해서 모든 일이 잘 풀리는 것은 결코 아니기 때문에 아이에게 자신이 감정에 대해 말로 풀어 설명하고 또 다른 대체 행동으로 풀어나갈 수 있도록 유도해주시는 게 바람직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