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자유로운허스키93
자유로운허스키93

육종암? 아니면 통풍결절? 어느쪽일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20대
기저질환
고혈압

제가 요즘 들어서 단단한 멍울? 그런거 느껴집니다.. 물론 만지면 좀 아프고요.. 전체적으로 오른쪽 다리보다 왼쪽 다리가 조금 더 커진듯한 느낌도 들어요.. 그리고 무릎도 가끔 욱씬 거릴때가 있습니다. 물론 작년 말쯤에 요산수치가 8~9정도 높다고는 들었는데 그 후로도 그냥 매일마다 고기를 먹어왔거든요.. 그래서 통풍결절이 생긴건지 아니면 육종암인진거 너무 걱정이 되네요..

  • 1번 째 사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단단한 멍울이 통증을 동반하고 요산 수치가 높았다면 통풍결절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다리가 한쪽만 커지고 멍울이 단단하게 커진다면 육종 등 종양성 질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정괗한 감별을 위해 초음파나 mri 혈액검사가 필요하니 빨리 정형외과나 종양외과 진료를 권장합니다! 통풍이 맞더라도 식습관 개선과 약물 치료가 필요하니 방치하지 않는 것이 좋아요!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육종암과 통풍결절은 전혀 다른 질환입니다.

    통풍결절 같은 경우 주로 엄지발가락 발등 발꿈치 무릎 팔꿈치 등에 자주 발생하고 단단하고 불규칙적이며 눌러도 잘 안 움직이고 가끔 또는 주기적으로 욱신거리며 주변이 붉어지거나 얇아지며 진물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기존에 통풍 진단을 받으시거나 요산 수치가 높게 나왔다면 가능성이 높습니다.

    육종은 근육 지방 혈관 등 연부조직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사지의 깊은 층 허벅지 팔 등 부위에 흔하며 보통 단단하고 점점 커지며 통증은 거의 없는 경우가 많으며 보통 겉 피부는 정상이고 단순 멍처럼 보이지 않고 경계가 불분명하고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기도 합니다.

    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가까운 류마티스내과 혹은 정형외과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다리쪽으로 멍울이잡히고 시간이지날수록 점점더 커지는듯한 느낌이든다면 병원에서 검사와치료를받아보는것이 좋은데요 요산수치가 8~9정도라면 통풍위험군이기때문에 병원에서 좀더 정밀검사를 받아보는것이 도움이될수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재민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올려주신 내용 잘 확인 하였습니다. 걱정이 많이 되시겠습니다만, 단순 증상과 피부 겉에서만 봐서는 누구도 진단할 수 없습니다.

    단순히 엑스레이나 초음파 검사로 가능할지, 아니면 MRI 추가 검사가 필요할지는 진료 보셔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멍울만 있으시고 별다른 증상은 없으신 것이네요

    그렇다면 통풍결절의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육종암의 경우 역시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드물구요

    환자분과 같은 정황에서 많은 경우 지방종인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건 가능성의 이야기일 뿐이지요

    정형외과를 방문하셔서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 현재로썬 지방종, 혈종, 근육 섬유화, 육종, 통풍 결종 등 여러 질환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검사 및 진찰을 하지않고는 질환을 파악하긴 어렵습니다.

    우선 통풍 위험성이 과거에도 있었기에 정형외과 또는 류마티스내과에 내원하셔서 초음파 검사, 혈액 검사 등 필요에 따른 검사와 진찰을 통해 전문의에 진단을 받고 적절한 조치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당분간은 해당부위를 만지거나 누르는것은 이차적 손상을 유발하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정확한 원인에 대해서는 병원에 방문하셔서 진료와 검사를 통해 파악하는 것이 현재 우려하고 계시는 부분에 재한 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암과 같은 악성 종양에 대해 우려하고 계시지만, 상당히 확률이 낮기 때문에 많이 걱정은 하지 마시고, 우선은 병원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