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겨울여름마더
겨울여름마더

30개월 남자아이 감정표현 관련 궁금한점이 있어요.

30개월 만2세 남자아이를 키우고있구요.

두돌 영유아검진때

언어,발달 모두 양호하다하시더라구요.

14개월정도 부터 어린이집을 다녔구요

현재는 12월생이라 4세반에 다니고 있습니다.

30개월 키우는동안 버럭 소리내서 화낸적은 손에꼽아요.

(3번-4번정도에요)

안전관련해서 주차장에서 뛰려고 해서 최근에 화냈어요.

최근에 동생이 태어났는데

첫째가 동생을 엄청 이뻐하구요

첫째가 섭섭하지 않게 잘해주고 있고

미디어는 1시간 이내로 조절하며 잘끄고해서 잘보여주고있습니다

제가 궁금한점은

어린이집에서 아이성격이 내성적인편인데 활동같은건 엄청 열심히하는 스타일이라고 하시더라구요 어린이집에 친구들이 화가나면 소리를 지르는지

요즘 본인이 화가나는 순간엔 핏대를 세우면서 소리를 지르네요.

본인 감정 표현하는것도 필요하다고 해서

이렁행동을 할때 크게 말하는건 좋지만 다른사람이 듣기엔 소음일수도 있다는건 계속 알려주고 있어요.

이개월에 이런행동을 했다가 아니라는 걸 알려주면 사라지믄 자연스러운 행동이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30개월 된 아이의 감정표현을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현재 아이는 나름대로 환경에 대한 변화로 인해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아이가 평소 자신의 감정을 긍정적으로 표현하게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울지 말고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아이의 성격과 사회성이 길러지는 시기입니다. 아이를 올바르게 훈육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를 데리고 영.유아 검진을 받으러 갔는데 의사의 소견상 언어.발달 상 문제가 없다 라고 했다면

    아이는 신체적.정서적으로 건강하게 잘 성장하고 있음을 의미 합니다.

    아이 또한 감정을 느끼는 인격체 이기 때문에 자신의 기분과 감정을 표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전달하는 것은 아직 미숙한 시기 이다 보니 자신의 감정을 소리를 지르거나,

    울거나, 떼를 부리거나, 고집을 부리거나, 물건을 던지거나, 사람을 때리는 것으로 표현함이 큽니다.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수단이 소리를 지르고 친구를 밀고, 때리고, 꼬집고 이러한 형태로 전달 되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행동이 옳지 않음을 단호히 알려주면서 왜 이러한 행동이 옳지 않은지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준 후, 아이의 행동을 개선시켜 주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

    또한, 현재 동생이 태어났다면 첫째 아이의 심리적. 정서적 감정은 예민함과 민감함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많이

    쌓인 상태 일 수 있으니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며 대화적인 소통을 통해 아이의 심리적 + 정신적인 부분을 치유해 주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네, 아주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입니다. 30개월쯤이면 언어,사회성이 폭발적으로 자라며 자기 감정을 소리로 표현하기 시작한 시기라 그렇습니다. 어린이집 친구들 영향도 받구요. 화를 소리로 표현한 뒤, 엄마가 '소리 질러서 놀랐어. 화날땐 이렇게 말해보자'하고 차분히 가르쳐 주면 서서히 조절을 배웁니다.

  •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감정 표현 방식은 이 나이대에서 자연스러운 행동이에요. 화가 나면 소리 지르거나 핏대를 세우는 건 아직 감정을 언어로 잘 표현하기 어려워서 그렇죠.

    감정을 표현하는 법을 가르치는 건 중요하지만 아이가 점차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돕는 것도 필요해요. 계속 규칙을 알려주고 감정을 표현하는 다른 방법을 가르치면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줄어들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