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피성 피부염 체질인지 확인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단것이나, 밀가루 성분을 많이 섭취하게 되면 피부가 올라오는건가요? 아토피 체질인지 아닌지 병원 검사를 통해서 아는것 외에 또 어떤 방법이 있는건지요?
안녕하세요. 김예은 영양전문가입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질환으로, 병원에서 알레르기 피부반응 검사나 혈액 검사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것과 밀가루 성분이 피부에 영향을 미친다면 식단과 증상을 기록하여 트리거 식품을 파악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 잘 확인했습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이 있는지 확인방법은 몇 가지로 관찰이 가능합니다.
1
피부과 진료가 중요합니다. 의사는 피부 상태를 보고 아토피성인지 단순 피부염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시 혈액검사를 통해 알러지 반응을 확인하기도 합니다. 가족력인 아토피, 비염, 천식도 함께 보기도 합니다.
2
병원 검사 외에도 일상에서 음식, 피부 증상의 상관관계를 기록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예로 단것, 밀가루, 유제품, 가공식품을 모두 드시고나서 피부가 가렵거나 붉어지는지 체크하는 것입니다. 모든 아토피 환자가 밀가루, 단 음식에 반응하지는 않고 개인별로 유발 인자가 달라 식사일지 작성을 추천드립니다.
3
아토피성 피부염은 보통 팔꿈치 안쪽, 무릎 뒤, 목, 얼굴 특정 부위에 반복적으로 가려움, 발진이 생겨 건조증이 심하게 동반됩니다. 단순 알러지성 두드러기나 접촉성 피부염은 특정 상황에서만 잠깐 올라오며 사라지기에 지속성과 재발성이 중요한 구분 포인트입니다.
4
피부 장벽이 약해서 작은 자극에도 쉽게 긁히거나, 계절 변화, 스트레스, 땀, 먼지같은 요인에도 반복적으로 심해지면 아토피 체질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물론 병원에서 진단이 필요하지만 증상 일지, 가족력, 재발 패턴 관찰로 어느정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답변에 참조가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우향 영양사입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보통 피부증상과 가족력, 알레르기 병력을 좋합해 진단합니다. 단 음식, 밀가루 섭취후 피부가 오르는 건 아토피일 수도 단순 알레르기 반응일 수도 있습니다. 장확히 확인하려면 결국 병원 진료가 필요하고 그 외엔 증상 일기를 써서 음식, 환경과 피부 반응의 연관성을 보는 방법이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