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고요한흑로232
고요한흑로232

휴업수당 계산(산정)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코로나19로 휴업을 실시한 상황에서, 구체적인 휴업수당 계산(산정)이 궁금합니다.

근로기준법 제46조에 따라 휴업기간 동안 평균임금의 70% 이상의 수당을 지급하여야 하고,

'평균임금의 70% 금액 > 통상임금'인 경우 통상임금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평균임금의 70% 금액의 산정 과정이 궁금합니다.

- 근로조건 예시 -

휴업시작일 : 2020. 2. 17. ~ 휴업 지속 중

근로일 : 월요일~금요일(토요일, 휴일은 근로일에서 제외) / 주휴일은 유급휴일

월 기본급 : 1,800,000원 + 월 정액 급식비 130,000원 = 매월 1,930,000원 지급

당월 근로에 대한 급여는 익월 5일에 지급(2월 근로에 대한 급여는 3월 5일에 지급)

11월 연장근로수당을 포함한 총 급여 : 2,000,000원

(11월 17일~11월 30일 동안의 연장근로수당을 포함한 총 급여 : 1,270,000)

12월 연장근로수당을 포함한 총 급여 : 1,930,000원

1월 연장근로수당을 포함한 총 급여 : 2,100,000원

(2월 1일~2월 16일 동안의 연장근로수당을 포함한 총 급여 : 1,100,000원)

1. 휴업수당 계산을 위한 평균임금 산정 시점

(갑설) 휴업이 실제로 발생한 날을 기준으로 하여 평균 3개월이므로 2019. 11. 17. ~ 2020. 2. 16. (97일)

(을설) 2019. 11. 1. ~ 2020. 1. 31. (92일)

[1-갑]에 따르면 1일 평균임금은

(11월 17일~2월 16일 급여총액)/3개월 일수

(1,270,000+1,930,000+2,100,000+1,100,000)/97 = 6,400,000/97 = 65,979.38원

[2-갑]에 따르면 1일 평균임금은

(11월~1월 급여총액)/3개월 일수

(2,000,000+1,930,000+2,100,000)/92 = 6,030,000/92 = 65,543.48원

2. 휴업일에 무급휴일의 포함 여부

(갑설) 토요일은 근로일에서 제외하므로, 2월의 휴업일은 주휴일을 포함하여 11일

(을설) 2월의 휴업일은 13일

[2-갑]에 따르면 (평균임금이 65,000원이라고 가정한 경우) 휴업수당은

1일 평균임금 x 70% x 토요일 제외 휴업일 = 65,000 x 70% x 11일 = 500,500원

[2-을]에 따르면 (평균임금이 65,000원이라고 가정한 경우) 휴업수당은

1일 평균임금 x 70% x 토요일 포함 휴업일 = 65,000 x 70% x 13일 = 591,500원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형규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문의사항에 대한 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근로기준법 제2조(정의) ①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6. "평균임금"이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한다. 근로자가 취업한 후 3개월 미만인 경우도 이에 준한다.

      근로기준법 제46조(휴업수당) ①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휴업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휴업기간 동안 그 근로자에게 평균임금의 100분의 70 이상의 수당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평균임금의 100분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이 통상임금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상임금을 휴업수당으로 지급할 수 있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을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노동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제1항의 기준에 못 미치는 휴업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알 수 없어 명확한 답변은 어려우나, 휴업수당 산출의 기초가 되는 평균임금은 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6호에 따라 산출되어야 함을 알려드립니다. 산정 사유 발생일 이전 3개월 동안에 근로자에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이 이에 해당합니다. 구체적인 사실을 알 수 없어 명확히 산출을 해드릴 수 없는점에 대해 양해를 구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이봉주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평균임금은 2019. 11. 17. ~ 2020. 2. 16. 까지의 급여를 해당 기간의 총일수(92일)로 나누어 계산하며, 2019. 11. 17.~11.30. 까지의 급여는 일할계산합니다.

      따라서 (933,333원+1,930,000원+2,100,000원+1,100,000원)/92일 = 65,905원이 1일 평균임금이 됩니다.

      2. 휴업수당 계산 시 무급휴무일(토요일)은 제외하고, 주휴일은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휴업하였으므로 포함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용준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의1]

      평균임금이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의미합니다(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6호).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은 휴업일을 의미하므로 '(1,270,000+1,930,000+2,100,000+1,100,000)/92' 가 타당합니다.

      [질의2]

      토요일이 유급휴일이라면 포함되어 산정되어야 하고, 무급휴무라면 제외하고 산정해야 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