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외과 이미지
신경외과건강상담
신경외과 이미지
신경외과건강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4.03

Brain CT 결과 판독 부탁드립니다

나이
23
성별
여성

[Conclusion]

1. Chronic small vessel disease, with chroinc infarctions.

2. Diffuse brain atrophy associated ventriculomegaly.

3. No acute intracranial hemorrhage.

4. NG tube in situ.


[Recommendation]

Clinical correlation and follow up.

Brain MRI if clinically Sx is persisted or aggravated.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옥영빈 응급의학과 전문의blue-check
    옥영빈 응급의학과 전문의24.04.05

    1. 만성적인 작은 혈관 질환 및 만성적인 경색

    2. 광범위한 뇌 위축 그리고 연관된 뇌실비대

    3. 급성 뇌출혈 소견 없음

    4. 비위관이 삽입된 상태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만성 소혈관 질환 및 만성 경색: 소혈관 질환은 뇌 내 소혈관의 기능 장애를 나타내며, 이는 뇌 조직으로의 혈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만성 경색은 뇌 조직의 혈류가 오랜 시간 동안 제한되어 발생한 영구적인 손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뇌졸중이나 인지기능 저하와 같은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확산성 뇌 위축 및 뇌실확대(ventriculomegaly): 뇌 위축은 뇌의 부피가 감소하는 것을 말하며, 여러 가지 원인, 예를 들어, 나이가 들어감에 따른 정상적인 과정, 알츠하이머 병 등 다양한 신경 퇴행성 질환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뇌실확대는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말하며, 이는 뇌 위축이 진행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성 두개내 출혈 부재: 급성 두개내 출혈이 없다는 것은 현재 뇌내에 새로운 출혈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긍정적인 소견입니다.

    NG (비위) 관 삽입 상태: NG 관은 비위관이며, 위로 직접 영양물질을 공급하거나 위 내용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환자가 구강을 통해 충분한 영양 섭취를 할 수 없는 경우에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임상적으로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경과를 보인다면 MRI 를 촬영하라고 권고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해당 CT 판독 결과는 만성 소혈관 질환과 만성 뇌경색, 뇌위축과 뇌실 확장 소견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행히 급성 뇌출혈은 없으며 비위관이 위치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주어진 판독에서는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 뇌 MRI 촬영과 임상적 연관성에 대한 추적관찰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소견에 맞는 적절한 진료와 경과관찰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1. 만성 뇌경색을 동반한 만성 소혈관 질환.

    2. 뇌실확장증 관련 미만성 뇌 위축.

    3. 급성 두개내 출혈은 없음

    4. NG 튜브 있음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작성자분의 검사 결과가 맞나요?

    [Conclusion]

    [결과]

    1. Chronic small vessel disease, with chroinc infarctions.

    1. 만성 소혈관병, 만성 뇌경색

    2. Diffuse brain atrophy associated ventriculomegaly.

    2. 미만성 뇌위축, 뇌실질비대 동반.

    3. No acute intracranial hemorrhage.

    3. 급성 뇌출혈은 없음

    4. NG tube in situ.

    4. 비위관 (콧줄) 이 제위치에 존재함.

    [Recommendation]

    [제안]

    Clinical correlation and follow up.

    위 소견과 임상적인 증상을 맞춰봐야함, 추적 검사가 필요할 수 있음.

    Brain MRI if clinically Sx is persisted or aggravated.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시 뇌 MRI를 찍어볼것

    이라고 되어있습니다. 현재 어떤 증상이 있고 어떤 상황에서 촬영한 검사이실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