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유연한파랑새97
유연한파랑새9724.03.02

연금저축? IRP?? 뭘해야 좋은가요?

연말정산시 좀 환급을 많이 받으려고하면

연금저축이나 IRP나 어떤식으로 설정해서 가입하는게 좋을까요?

세법에 약해서 13월의 월급이 빈약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두 계좌 모두 세액공제 비율은 동일합니다

    • 한도에서 차이가 있는데 1년에 최대 600만원까지 연금저축펀드에서 가능하고

      900만원까지는 IRP계좌에서 가능합니다.

    • 두 계좌 합산은 총900만원까지만 가능합니다.

    • 또한 연금저축펀드는 국내 상장 ETF만 거래가 가능하지만 IRP는 예금도 투자가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연말정산 환급을 위해서라면 연금저축 600+ IRP 300

    또는 IRP 900이 최대 효율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계좌 와 IRP는 둘다 세금공제 및 수수료혜택이 비슷하지만 irp는 근로소득자만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IRP는 은행 정기예금 등 원금 손실 위험이 없는 상품으로 운용 가능한 반면, 연금저축 펀드는 상품명 그대로 펀드 등의 실적 배당형 상품으로만 운용할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 측면에선 IRP가 더 유리하며, 연금저축은 납입액 중 600만원까지, IRP는 단독 또는 연금저축과 합산해 9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의 경우에는 보험사를 통해서 가입하는 것이며 상품에 대한 운용을 보험사에 맡기며 직접적인 운용을 할 수 없다는 점 정기적인 납입이 되어야 한다는점에서 불리해요

    그렇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개인형 IRP제도가 9백만원까지로 더 많은 세액공제를 받을수 있으며 상품운용도 직접지시할 수 있고 사업비도 별도로 차감하지 않기 때문에 IRP제도가 유리하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선 연금저축의 세액공제 한도는 600만원이고 IRP는 900만원이 세액공제 한도입니다. 연봉 수준에 따라 13~17%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연금저축 또는 IRP 중에 사정에 맞게 택해서 가입하고 한도액을 채우게 되면 납입 금액의 13~17%를 돌려 받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말정산시 환급을 늘리기 위해서는 연금저축이나 IRP(개인형퇴직연금) 가입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은 연간 납입한 금액에 대해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고, IRP는 개인이 직접 퇴직연금을 관리하여 미래에 대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두 가지 모두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자신의 재정 상황과 목표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연금저축 혹은 IRP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장 좋은 것은 둘 다 하시면 됩니다.

    최근 들어서 최대 세제 혜택이 700만원에서 900만원으로 늘었기 때문에

    자금에 여유가 있으면 900만원을 전부 넣으시면 더 많은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돈이 묶기는 것이기 때문에 현금 흐름을 잘 살펴보고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