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기계공학

느낌의 그림자
느낌의 그림자

한국항공우주산업에서 자율 UAV 기술 로드맵을 발표했는데 우리나라의 자율무인기(UAV) 기술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요?

자율무인기(UAV) 개발에 중국이 상당히 앞서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기술 수준은 어느 정도 인가요? UAV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정책적 규제 및 사회적 수용성 확보 전략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자율 무인기 기술 수준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7위권의 무인기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한항공의 사단급 무인기 KUS-9 등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특히, 유무인 복합체계(MUM-T)의 핵심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KAI는 미래전을 위한 차세대 자율형 무인기 개발 방향을 제시하며 기술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드론 산업에서 상당한 강세를 보이며 국내 기업 규제 완화와 적극적인 기업 유치를 통해 빠른 산업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특정 상업용 드론 시장에서는 중국이 앞서는 부분이 있지만, 군용 및 고성능 자율 비행 무인기 분야에서는 우리나라도 꾸준히 기술력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정책적 규제 및 사회적 수용성 확보 전략 정부와 관련 기관들은 자율무인기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 규제 완화 및 현장 테스트 지원 : 시험 비행 및 물류 배송, 농업, 도심 항공교통(UAM)등 각 분야별 규제를 완화하고 현장 중심의 테스트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드론의 사업 범위를 확대하고 비행 승인 및 기체 검사 면제 범위를 넓히는 등 법령 개정도 진행되었습니다.

    • 강도 높은 안전 인증 체계 : 규제 완화와 더불어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강도 높은 안전 인증 체계를 마련하여 기술의 신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 경제적 접근성 확보 : UAM과 같은 분야에서는 높은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가격 정책을 도입하여 경제적 접근성을 확보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자율 무인기 기술의 상용화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자율 무인기 기술 수준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선진국과 격차를 좁히고 있는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상용화 정책으로 시험 비행 및 물류 배송, 농업 및 도심항공 등 각 분야별 규제를 완화하고 현장 중심 테스트를 지원하고 있으며 강도 높은 안전 인증체계와 리스크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규제 당국 뿐만 아니라 산업계와 군 및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공공분야 활용 정책등을 마련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