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멋진부릉카100
멋진부릉카100

무릎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장애등급을 받을수 있나요?

나이
27
성별
남성

일을 하다가 무릎 십자인대가 파열되서 잘 걷지를 못하는데 군대에서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전역을 하던데, 사회에서는 장애등급 판정을 받을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 십자인대 파열만으로는 일반적으로는 장애등급을 받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수술 후에도 심한 불안정성이 남아 일상생활이 어렵다면 장애등급심사를 통해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 정혀오이과 전문의 소견과 국민연금공단 장애 심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십자인대가 파열된다면 무조건적으로 장애등급을 받을수있는건아닙니다 장애등급은 일상생활에 불편함이있는 정도에따라서 달라질수있는데 결국 장애등급을 진단하는건 의사이기때문에 자세한건 병원에서 문의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전방 및 후방 십자인대가 각각 70%이상 손상된 경우나 후유장애가 남는다면 장애등급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장애등급 신청절차에 관련한 문의를 보건복지부의 담당기관에 하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절차와 구비서류에 대한 안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십자인대 파열로 인해 장애등급을 받을 수 있는지는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우선 일을 하다가 무릎 십자인대가 파열되어 걷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 그로 인한 기능적 제한이 어느 정도인지 평가해야 합니다. 장애등급은 일반적으로 신체의 기능상 손실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기반으로 책정됩니다. 군대의 경우 전역 여부는 해당 상황에서 부상이나 질병이 군 복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결정되지만, 사회에서의 장애등급 판정은 따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장애 판정을 받으려면 병원에서 정밀 검진을 통해 장애 정도에 대한 진단서를 발급받고, 이를 바탕으로 관할 기관에 장애등급 판정을 신청해야 합니다. 판정 결과는 의료적 평가뿐 아니라 일상생활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일을 하다가 무릎의 십자인대가 파열되어서 제대로 걷지도 못하여 군대에서 전역을 하게 되었고 사회에서 장애등급 판정관련해서 질문을 주셨는데 일반적으로 십자인대 파열로 장애등급을 받기는 어렵습니다.

    십자인대의 단순 파열만으로는 장애등급이 나오기 힘들고 만약 장애 판정이 나오려면 재건수술 이후에도 지속적인 무릎 관절의 불안정성 및 보행의 장애 그리고 심한 관절염등이 동반되어야만 장애 등급을 판정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장애심사를 담당하는 국민연금공단이나 보건복지부에 문의 해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예요. 무릎 십자인대 파열은 무릎의 안정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부상으로, 특정한 경우에 장애등급 판정을 받을 수 있어요. 일반적으로 장애등급은 부상의 심각성과 그에 따른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결정되는데, 십자인대가 파열되어 수술 후에도 적절한 기능을 회복하지 못하거나 지속적으로 통증이 심하다면 장애등급을 고려해볼 수 있어요. 하지만 장애등급 판정은 의료 전문가의 평가와 함께 증상, 회복 상태, 일상생활의 어려움 등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필요로 해요. 만약 십자인대 파열로 인한 장애등급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관련 서류와 증상을 가지고 가까운 병원에서 정형외과 전문의를 찾아 상담받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일상생활에서 통증 조절과 재활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도 무릎 회복에 중요하므로 이를 잘 지켜나가는 것이 필요해요.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십자인대 파열로 인해 걷기 어려운 상태라면, 장애등급 판정을 받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장애등급 판정은 신체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기준으로 하며, 무릎의 기능 장애가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면 장애인 등록을 고려할 수 있죠. 특히, 무릎 관절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통증이 지속된다면, 의료기관에서 장애인 등록을 위한 진단서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정확한 판정을 위해서는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 전문의의 평가가 필요하며, 그 후 장애등급 판정 절차를 진행할 수 있어요